- 對中 145% 관세 인하 가능성 언급…“중국이 열쇠 쥐고 있어”

[더지엠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부과한 고율 관세를 향후 2~3주 내 재조정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24일 발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취재진과 만나 “관세 조정 여부는 중국에 달렸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미국이 90개국과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결국 우리는 좋은 협상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145%까지 오른 대중국 수입품 관세가 과도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 조정은 중국의 협상 태도에 좌우된다는 입장을 고수한 것이다.
중국을 포함한 새로운 관세 체계는 2~3주 안에 결정될 수 있다고 구체적인 시점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입장은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협상 여지를 남겨두면서도, 중국의 대응에 따라 정책 기조가 달라질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낸 셈이다.
미 재무부 역시 같은 날 열린 국제금융연구소 행사에서 유사한 기조를 드러냈다.
스콧 베선트 장관은 미중 간 관세가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다”라며, 이는 사실상 금수 조치에 준하는 조치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빅딜의 기회는 여전히 있다”고 언급하며 향후 협상 여지를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직접 협상이 진행 중이라는 점도 공개했다.
그는 “매일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미국은 캐나다·멕시코를 포함한 외국과의 관세 정책에서도 이득을 얻고 있다고 자평했다.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정책에 대해선 “캐나다가 미국을 위한 생산을 꺼리는 상황”이라며, 향후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통화정책 관련 발언도 나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과의 통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통화할 수는 있지만, 아직 하지 않았다”며, 연준이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점을 재차 비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한 종전 협상 가능성도 언급했다.
그는 러시아는 준비가 된 상태라고 말하면서도,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협상이 더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두 나라 모두와 합의를 이뤄야 한다”고 덧붙이며, 전쟁 종식을 위한 대화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크림반도와 관련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하면서 “나는 전쟁이 끝나는 것을 원할 뿐”이라고만 답했다.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음 달 사우디 방문 직후에 만날 수 있다”고만 밝혔다.
한편,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대학들의 외국 기부금 수령 내역 공개와 장학금 관련 행정조치를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조치는 하버드대 등을 비롯한 주요 대학에 대한 압박으로 해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