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2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Aramco)는 최근 주요 데이터센터에 딥시크의 대형 언어모델을 구축했으며, 영국계 은행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도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국 기업이 주도해온 AI 시장에서, 중국 기업이 실용성과 비용 경쟁력으로 발판을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딥시크는 지난 2월 자체 개발한 R1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복잡한 상업 라이선스 없이 누구나 수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자들과 학계의 호응을 얻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같은 미국 클라우드 업체도 고객 요청에 따라 딥시크 모델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챗GPT 다운로드 수는 9억1천만 회에 달하며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지만, 딥시크는 1억2천500만 회를 넘기며 비약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업계에서는 딥시크의 부상 배경으로 세 가지를 꼽는다. 첫째, 비용 측면에서 미국의 초거대 모델 대비 경제적이며, 둘째, 오픈소스 전략으로 활용
.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화웨이가 AI 연산 인프라 경쟁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했다. ‘슝텅(昇腾)’ 기반의 대규모 클러스터 운용 기술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초거대 모델 시대에 맞춘 자체 인프라의 구조적 안정성과 확장성을 전면에 내세웠다. 9일 화웨이는 초대형 AI 훈련에 사용되는 슝텅 기반 인프라의 핵심 구조와 운영 체계를 상세히 공개했다. 회사는 이 시스템을 “계산력 항공모함”으로 표현하며, 수만 개의 연산 노드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처럼 작동하는 초고집적 클러스터 구조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화웨이는 ‘CloudMatrix 384’ 초노드 기반 구조를 통해 시스템·업무·운영의 3단계 내결함 메커니즘을 제시했다. 특정 장비에 문제가 발생해도 훈련 전체가 중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각 노드는 서로를 백업하는 형태로 고장 시 자동 전환된다. 고성능 확장성과 효율적인 분산처리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구조도 눈에 띈다. TACO(토폴로지 기반 협업 기술), NSF(네트워크·스토리지·연산 융합 기술), AICT(무중단 통신 계층 진단) 등의 독자 기술은 수천~수만 개의 계산 노드가 정확하게 분업된 채 일사불란하게 동작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