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유럽연합, 영국, 한국, 인도네시아산 스테인리스 제품에 대해 기존의 고율 반덤핑 관세를 2025년 7월 1일부터 추가로 5년간 유지하기로 했다. 중국 내 철강산업 보호와 주요 원재료의 전략적 공급망 안정이라는 명분이 다시 확인됐다. 30일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2019년 도입한 반덤핑 조치의 유효기간 만료를 앞두고 시행한 ‘기한 종료 재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상무부는 “조치 종료 시, 유럽과 아시아 주요 수출국에서 저가 수입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국 스테인리스 산업에 실질적인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심 결과에 따라, 상무부는 기존의 고율 관세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산 제품에는 43.0%의 반덤핑세가 부과된다. 인도네시아산 제품은 20.2%가 적용된다. 한국 기업 가운데는 포스코에 23.1%의 세율이 매겨졌으며, 그 외 다른 한국 업체들은 최대 103.1%에 달하는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해당 조치의 적용 대상은 탄소 함량 1.2% 이하, 크롬 10.5% 이상을 포함한 스테인리스 합금강 가운데 열간압연 공정을 거친 판재(Coils 포함)와 강괴
[더지엠뉴스] 중국 외교부가 포스코 중국법인장을 초청해 양국 경제 협력과 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2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류징쑹(刘劲松) 아주사장은 이날 김용수 포스코 중국법인장을 만나 중국 내 한국 기업들의 지속적인 투자와 협력 강화를 당부했다. 류 아주사장은 포스코가 중국 경제 성장과 개혁 개방 정책을 신뢰하며, 한중 경제 협력이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또한, 디지털·스마트·저탄소·친환경 산업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을 요청했다. 이번 만남은 최근 외국인 투자 감소 흐름 속에서 중국 정부가 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힌 가운데 이루어졌다. 지난해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8,262억 5,000만 위안(약 167조 원)으로, 전년 대비 27.1% 감소했다. 이에 중국 국무원은 외국 기업의 투자 환경 개선을 위한 ‘2025 외자 안정 행동방안’을 발표하며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한편, 류 아주사장은 2023년에도 포스코 측과 면담을 진행하며 중국 내 투자 확대를 요청한 바 있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도 외국 기업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