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화웨이(华为, Huawei)가 자국 기술로만 구성된 인공지능(AI) 인프라를 본격적으로 구축하며 글로벌 AI 시장에서 독자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행보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한 이후, 중국 내부에서 추진 중인 ‘자립형 AI 생태계’의 핵심 축으로 평가된다. 중국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 MIIT)에 따르면, 화웨이는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화웨이 클라우드’(HUAWEI Cloud)를 기반으로 AI 훈련·추론 전용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특히 자체 개발한 어센드(昇腾, Ascend) 시리즈 칩과 쿤펑(鲲鹏, Kunpeng) 서버를 중심으로 고성능 연산센터를 확충하고, 대규모 언어모델(LLM) 훈련 효율을 40% 이상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립형 지능 컴퓨팅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다. 중국 각 성(省) 단위의 데이터센터와 슈퍼컴퓨팅 허브를 하나의 지능망으로 연결해, 국가 차원의 AI 자원 배분과 연산 협업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이 시스템은 ‘중국형 AI 클라우드 네트워크’로 불리며, AI 서비스의 국산화율을 9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웨이 관계자는 “자체 기술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중국의 의료 인공지능 시장이 기술 대기업과 스타트업 창업자들의 집중 진입으로 새로운 경쟁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기업마다 다른 기술 접근법과 생태계를 내세우며, AI의사를 둘러싼 산업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7일 KIC 중국에 따르면, 마이그룹, 화웨이, 왕샤오촨이 각각 AI 기반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잇따라 출시하며 산업 진입을 공식화했다. 각 기업이 보유한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진단, 문진, 영상 분석, 예측 모델링 등 의료 영역의 다양한 부문을 자동화하고 있다. 마이그룹 산하 마이헬스케어는 최근 자체 개발한 AI 진료 엔진 ‘마이닥터’를 선보였다. 이 시스템은 중국 국가질병분류표준(NCDP) 및 진료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학습됐으며, 300종 이상의 질환에 대해 문진, 진단, 처방을 제안할 수 있다. 문진은 챗봇 형식으로 시작되며, 질문 내용을 구조화한 뒤 가장 가능성 높은 질병을 도출하고, 표준화된 임상 프로토콜에 따라 약물과 치료법을 추천한다. 사용자는 진료 결과를 마이그룹 산하의 약국, 병원, 보험플랫폼과 연동시킬 수 있다. 마이헬스케어는 이 시스템을 통해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화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