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사람과 동물 모두에 감염되고 치사율이 최대 75%에 이르는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이 국내에서도 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비법정 감염병이던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으로 지정하는 안건이 감염병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의결됐다. 향후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 등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이르면 7월 지정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감염병예방법은 법정 감염병을 1~4급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 중 1급은 생물 테러 가능성이나 대규모 유행 우려가 있는 고위험 감염병에 해당한다. 니파 바이러스가 포함되면 기존 17종에서 18종으로 확대된다. 니파 바이러스는 1998년 말레이시아 니파(Nipah)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인수공통감염병이다. 박쥐가 보유한 바이러스가 돼지를 매개로 사람에게 전파된 사례로 시작됐으며, 이후 인도,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유행하며 지금까지 22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됐다. 환자는 발열과 두통 등 초기 증상 이후 어지럼증, 착란, 뇌염, 혼수상태로 빠지는 경향이 강하다. 감염 후 24~48시간 내 사망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현재까지 백신이나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고,
[더지엠뉴스]최근 전 세계적으로 홍역 유행이 심화되면서 한국에서도 환자 수가 크게 늘고 있다. 국내 감염자 대부분이 해외에서 전파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당국은 여행 전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10일 기준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올해 들어 5일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홍역 환자는 총 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로, 94.4%나 급증했다. 이 가운데 23명은 해외에서 감염된 사례로, 전체의 67.7%를 차지했다. 특히 베트남이 22명으로 가장 많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 1명이 감염됐다. 국내 감염자 12명도 대부분 가정이나 병원에서 해외 유입 환자와 접촉한 뒤 2차로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자 대부분은 성인이다. 19세 이상이 전체의 71.4%를 차지했으며, 65.7%에 해당하는 23명은 백신을 맞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했다. 홍역은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2급 법정감염병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면역력이 없는 경우 접촉 시 감염 가능성이 90% 이상에 달한다. 주요 증상은 고열, 전신 발진, 입안에 회백색 반점 등이 있다. 이번 유행은 유럽, 중동, 아프리카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더지엠뉴스] 한국에서 매독 환자가 급증하면서 보건당국이 경고를 내놓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매독 신고 건수는 2786건으로, 10년 전인 2014년 대비 2.7배 증가했다.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덤'이라는 박테리아 감염으로 발생하는 성매개 감염병이다.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태아에게 수직 감염되거나 혈액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다. 매독은 진행 단계에 따라 1기, 2기, 3기로 나뉜다. 1기에서는 통증 없는 궤양이 발생하고, 2기에서는 피부 발진과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없이 방치하면 수년간 잠복기를 거쳐 3기로 진행되며, 이 경우 내부 장기와 중추신경계까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매독 합병증으로 실명 위기에 놓이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매독균 감염으로 인한 포도막염 발생률이 9년 새 8.7배 증가했다. 이는 심할 경우 백내장, 녹내장으로 이어져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다. 보건당국은 매독 예방을 위해 안전한 성관계를 유지하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신속히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WHO 역시 매독 예방을 위해 콘돔 사용을 강조하며, 감염 의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