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2025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경기 대회가 베이징 국립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에서 막을 올리며 각국의 로봇들이 첫 격돌에 나섰다. 위슈테크놀로지는 춘절 갈라에 등장했던 H1 로봇으로 육상 두 종목을 석권했고, 완전 자율주행으로 주목받은 티엔공은 은메달을 차지했다. 16일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전날 열린 1500m 경주에서 위슈테크놀로지 팀의 H1 로봇이 6분 34초로 우승했다. 이어 400m 결승에서는 상하이 가오이테크놀로지의 H1 로봇이 1분 28.03초로 또 다른 금메달을 가져갔다. 티엔주오와 티엔자오 팀은 티엔공 로봇을 앞세워 각각 2위와 3위에 올랐다. 티엔공은 UBTECH와 베이징 휴머노이드 로봇 혁신센터가 공동 개발한 로봇으로, 원격 제어 없이 자율적으로 경기를 완주해 눈길을 끌었다. 위슈테크놀로지 왕싱싱 CEO는 인터뷰에서 이번 성과가 당연한 결과라면서도, 전략상 리모컨을 사용했을 뿐 H1 역시 자율 주행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더욱 안정적인 AI 모델이 필요하다며 ChatGPT 같은 임계 수준의 모델 개발이 최대 과제라고 강조했다. 대회는 육상뿐 아니라 농구, 무술, 그룹 댄스 등 다양한 종목으로 구성됐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위수커지(宇樹科技, Yushu Keji)의 왕싱싱 최고경영자(CEO)가 휴머노이드 로봇이 수년 안에 비약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 로봇 산업이 올해 상반기 완제품과 부품 제조 부문 모두에서 50~100% 성장했다고 전하며,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의 발전 속도가 임계점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11일 차이신 보도에 따르면 왕 CEO는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2025 세계로봇대회 포럼에서 현재 체화지능의 단계가 챗GPT 등장 13년 전과 유사하다고 말했다. 그는 낯선 환경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빠르면 13년, 늦어도 3~5년 내 구현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왕 CEO는 하드웨어 수준은 충분하나 지능 수준이 대형언어모델(LLM)에 비해 크게 뒤처진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 제기한 ‘물리 세계 데이터 부족’ 문제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아니라 적합한 모델 아키텍처의 부재가 본질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구글의 ‘지니3’ 모델을 사례로 언급하며, 비디오 기반 세계 모델이 로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고 강조했다. 유니트리는 이미 이와 유사한 실험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대표 로봇 기업 유니트리(宇樹科技, 위수커지)가 본토 증시 상장을 공식 추진하며 시장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춘제 갈라쇼에서 대중의 눈도장을 찍은 데 이어, 민간 기술기업으로선 드물게 대규모 상업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증명하고 나섰다. 20일 중국경제매체 재련사와 증권시보에 따르면, 유니트리는 최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를 통해 저장성 증권감독국에 상장 지도를 위한 등록을 완료했다. 이는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는 첫 필수 단계로, 실제 상장까지 직행할 수 있는 신호탄이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유니트리 창업자인 왕싱싱은 직접 지분 23.82%, 합작사 상하이위이기업관리컨설팅합작회사를 통한 간접 지분 10.94%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34.76%의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다. 현지 분석에선 유니트리의 기업가치를 100억 위안(한화 약 1조9400억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장 지도는 올해 10월부터 12월 사이 중신증권이 담당한다. 이 기관은 유니트리의 경영 실적과 법적 요건 충족 여부를 종합 검토해 상장 신청을 위한 서류 작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유니트리는 올해 춘제(음력설) 갈라쇼에서 화려한 로봇 군무를 선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