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상하이 종합지수가 3,700선을 넘어섰다. 선전 구성지수와 차이넥스트 지수, 베이징 증권거래소 50 지수 등도 동시에 고점을 경신하며 중국 본토 주요 증시가 10년 만에 일제히 최고치를 기록했다. 거래대금은 며칠 연속 2조 위안(약 384조 원)을 돌파했고, 전체 시가총액은 처음으로 100조 위안(약 1경 9,200조 원)을 넘어섰다. 20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번 랠리는 과거 레버리지나 단기 테마 장세와 달리 정책, 자금, 밸류에이션이라는 세 가지 구조적 요인이 맞물린 결과다. 중국 정부는 “성장 안정”과 “개혁 촉진”을 양축으로 한 정책 패키지를 가동하고 있다. 상반기 인프라 투자는 전년 대비 8.2% 증가해 건설기계와 건자재 수요를 키웠고, 신인프라 및 신에너지 분야가 재정 지원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통화 측면에서도 M1 증가율이 7월 5.6%로 반등하며 기업 요구불 예금이 회복세를 보였고, 이는 실물과 자본시장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했다. 등록제 개혁은 자원 배분을 규모 중심에서 질 중심으로 바꾸며 과학기술혁신판과 베이징거래소를 통해 첨단 기업에 직접 자금조달 통로를 열어주었다. 자금 유입은 시장 모멘텀을 더욱 강화했다. 7
[더지엠뉴스] 노후화된 제조 설비와 낡은 소비재를 새로운 설비와 제품으로 교체해 신규 투자와 소비를 유도하는 중국 정부의 이른바 ‘이구환신’(以旧換新) 정책이 산업 공급망 전반의 기능 향상을 이끌어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3일 한국은행 북경사무소가 발표한 ‘중국 정부의 이구환신 정책 주요 내용 및 현지 평가’에 따르면 시장참가자들은 이구환신 정책이 내수 활성화뿐만 아니라 제조업 분야의 설비나 장비의 세대교체를 추진해 제조업 첨단화, 지능화, 친환경화, 디지털화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최종 생산재의 품질 향상이 뒤따를 것으로 관측했다. 이구환신은 2023년 중앙경제공작회의와 2024년 양회에서 차례로 발표하면서 중국의 주요 정책으로 다시 떠오른 정책이다. 2009년 처음 도입됐지만 당시에는 소비 진작과 내수 확대에 초점을 맞췄던 반면 이번에는 소비 및 투자 확대를 동시에 도모하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 골자다. 즉 단순히 신제품 또는 새로운 설비로 교체하는 것에 더불어 녹색 저탄소, 스마트 지능화, 정보화 등의 기능을 갖춘 제품이나 설비구입시 각각 보조금과 투자세액환급 등을 지원함으로써 정책의 차별화 시도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