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미국에서 한때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던 감염병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의료계는 특정 주를 중심으로 급격히 퍼지고 있는 확산세에 비상이 걸렸다. 9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에서 보고된 감염 사례가 150건을 넘어섰다. 이는 1992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문제가 된 주는 텍사스로, 전체 환자의 40% 이상이 이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DC는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점과 지역 내 보건 당국의 대응 지연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텍사스에서는 어린 자녀에게 백신을 맞히지 않으려는 부모들의 수가 눈에 띄게 늘었다. 종교적·철학적 사유로 백신을 거부하는 ‘비의무 면제자’가 10년 전보다 6배 가까이 증가했다. 미국에서 이 감염병은 2000년대 초 공식적으로 박멸 선언이 내려진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새 백신 불신과 음모론의 확산, 그리고 코로나19 이후 보건당국에 대한 신뢰 저하가 맞물리며 방역의 빈틈이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뉴욕, 일리노이, 플로리다 등에서도 산발적으로 유사 사례가 보고됐다. 특히 어린이 환자들이 다수를 차지해,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긴급 폐쇄도 이어졌다. CDC는 모든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멕시코 여행 중 주유소에서 산 성기능 보조제를 복용한 미국 청년이 전신 출혈 증상을 보이며 응급실로 실려갔다. 7일 현지 언론과 국제 학술지 큐레우스(Cureus)에 따르면, 미국의 20대 남성 A씨는 휴가 중이던 멕시코에서 ‘라이노69 플래티넘 1000(Rhino 69 Platinum 1000)’이라는 발기부전 보조제를 구입해 2주간 복용했다. 이후 온몸에 보라색 반점이 나타나고 잇몸과 코피가 멈추지 않아 병원을 찾았고, 의료진은 혈소판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면역혈소판감소증(ITP)’으로 진단했다. 이 약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정품 비아그라처럼 실데나필(sildenafil)을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으나, 공식적인 안전성 검사를 거치지 않은 불법 약물로 분류된다. FDA는 이미 ‘라이노69’ 관련 심각한 부작용 가능성을 수차례 경고한 바 있다. 하지만 해당 제품은 여전히 온라인과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ITP는 면역 체계가 혈소판을 적으로 오인해 파괴하는 질병이다. 혈소판 수치가 낮아지면 작은 상처에도 출혈이 멈추지 않고, 자반증이라 불리는 보라색 반점이 피부 곳곳에 나타난다. 코피나
[더지엠뉴스] 한국에서 매독 환자가 급증하면서 보건당국이 경고를 내놓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매독 신고 건수는 2786건으로, 10년 전인 2014년 대비 2.7배 증가했다.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덤'이라는 박테리아 감염으로 발생하는 성매개 감염병이다.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지만, 태아에게 수직 감염되거나 혈액을 통해 감염될 수도 있다. 매독은 진행 단계에 따라 1기, 2기, 3기로 나뉜다. 1기에서는 통증 없는 궤양이 발생하고, 2기에서는 피부 발진과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없이 방치하면 수년간 잠복기를 거쳐 3기로 진행되며, 이 경우 내부 장기와 중추신경계까지 손상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매독 합병증으로 실명 위기에 놓이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매독균 감염으로 인한 포도막염 발생률이 9년 새 8.7배 증가했다. 이는 심할 경우 백내장, 녹내장으로 이어져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다. 보건당국은 매독 예방을 위해 안전한 성관계를 유지하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신속히 검사를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WHO 역시 매독 예방을 위해 콘돔 사용을 강조하며, 감염 의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