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약산업이 항암제 임상시험에서 2년 연속으로 미국을 제치며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임상 건수 확대와 함께 해외 제약사와의 기술 제휴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중국 의약품의 국제 영향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9일 중국 국가의약감독관리국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제약기업이 지난해 진행한 암 치료 관련 임상시험은 총 896건으로 세계의 약 39%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미국은 약 32%, 유럽은 20% 수준으로, 중국은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세계 최다를 기록했다. 중국의 점유율은 2009년 2%에서 2023년 35%로 급등하며 처음으로 미국을 앞섰다. 중국 정부는 혁신 신약 연구개발에 대규모 정책자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으며, 임상 절차 간소화와 데이터 관리 체계 고도화를 병행하고 있다. 이 같은 제도적 지원을 기반으로 다수의 중형 바이오기업이 신약개발 경쟁에 뛰어들면서 산업 구조도 고도화되고 있다. 아이큐비아(IQVIA)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제약사와 외국 기업 간 제휴 계약은 61건으로 집계됐다. 총 계약 규모는 485억 달러(약 70조 7천억 원)로, 전년도 전체 규모인 448억 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특히 항암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서울에서 열린 제8회 중국(山东, Shandong)-한국 경제통상협력 교류회에서 양국은 산업망과 공급망을 아우르는 협력을 더욱 심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의료·바이오, 수소 에너지, 녹색 저탄소 분야를 새로운 협력 축으로 제시하며 양국 기업 간 교류 확대를 강조했다. 19일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1일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 천핑(陈平, Chen Ping) 산둥성 부성장, 박종원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등 양측 주요 인사와 기업 대표 200여 명이 참석했다. 다이빙 대사는 산둥성이 한국과 지리적으로 맞닿은 이점을 바탕으로 양국 산업망과 공급망 협력의 교두보 역할을 해왔다고 언급했다. 그는 앞으로도 산둥과 한국이 교류를 심화해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천핑 부성장은 산둥성이 최근 몇 년간 한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풍성한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공급망 통합을 넘어 더 넓은 분야에서의 실무적 협력을 강화하며 개방과 상생의 새로운 장을 함께 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박종원 차관보는 산둥성이 한국 기업의 주요 투자 거점으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그
[더지엠뉴스]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가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찾아 윤원석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과 만나 양국 간 첨단 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11일 확인된 중국대사관 발표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지난 3월 28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을 방문해 경제와 무역 분야에서 실질적인 협력 강화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다이빙 대사는 중국과 한국이 서로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핵심 파트너라고 강조하며, 중한 협력이 높은 수준의 기반을 이미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산업 분야에서 양국 간 경쟁 구도가 일부 나타나고 있으나, 전략적 협력의 중요성과 상호 이익 구조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이 다국적 기업들이 모이는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중국 기업들과의 연계 확대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는 양국 기업이 각각의 산업기술 강점을 기반으로 첨단 산업에서 협력의 새로운 지점을 발견하고, 더 긴밀한 연계를 통해 상호 발전의 동력을 키우길 바란다고 밝혔다. 윤원석 청장 역시 인천이 한국 내에서 중국과의 교류가 가장 활발한 도시 중 하나라고 강조하며, 인천경제자유구역이 한국 최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