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KBS1 ‘아침마당’ 출연에서 방송인 서경석이 지난 2월 치른 제7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사상 최초로 만점(100점)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1일 그는 “하늘이 내려야 하는 점수”라며 시험 당일 모든 운이 자신에게 온 것 같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총 네 차례 시험을 봤다고 전했습니다. 첫 응시에서는 OMR 카드 오류로 실제 79점(가채점 81점), 두 번째는 94점, 세 번째는 99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도전에 만점을 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서경석은 이전에 육군사관학교에 수석 입학했다가 자퇴 후 서울대 불어불문학과에 진학했습니다. 그동안 공인중개사 시험과 한국어 교원 2급 자격증도 취득하며 ‘뇌섹남’ 이미지로 주목받아 왔습니다. 서경석은 “역사 전문가 최태성 선생님도 제대로 시험 보면 만점 쉽지 않을 것”이라며 친구 사이의 농담을 전했습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의 소행성 탐사선 톈원2호가 지구와 달을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하며 우주 관측 능력을 입증했다. 탐사선은 현재 지구로부터 1,200만㎞ 이상 떨어진 궤도에서 정상 작동 중이다. 1일 중국국가항천국(CNSA)은 지난 5월 30일 촬영된 지구와 달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지구 사진은 오후 1시, 달 사진은 오후 3시에 약 59만㎞ 거리에서 촬영됐으며, 이후 지상 연구진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밀 처리했다. CNSA는 탐사선에 탑재된 협시야 내비게이션 센서가 지구와 달을 성공적으로 포착함으로써, 고성능 이미지 시스템과 안정적인 통신 능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톈원2호는 5월 29일 새벽 쓰촨성 시창(西昌, Xichang)위성발사센터에서 창정3B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번 임무는 10년에 걸쳐 진행될 심우주 탐사로, 근지구 소행성 2016HO3에서의 샘플 채취와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혜성 311P 탐사를 목표로 한다. 이번 임무는 중국 최초의 소행성 시료 채취 및 귀환 계획으로, CNSA는 2027년경 귀환 캡슐이 시료를 지구로 가져온 뒤, 탐사선 본체는 계속 항해를 이어가 2034년경 311P 혜성을 탐사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국 통일 대시장 건설과 해양경제 고도화를 중국식 현대화 전략의 핵심 축으로 제시하며 전면 추진을 지시했다. 1일 오전 열린 제6차 중앙재경위원회(中央财经委员会) 회의를 주재한 시진핑 주석은 “통일된 대시장은 고품질 발전과 신성장 구도의 근간이며, 해양경제는 중국식 현대화로 가는 새로운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 차이치(蔡奇) 서기처 서기, 딩쉐샹(丁薛祥) 국무원 부총리가 참석했으며, 중앙 부처 및 국가기관 관계자들도 배석했다. 회의에서는 전국 통일 대시장 건설을 위한 기본 원칙으로 ‘5통일·1개방’ 전략이 제시됐다. 여기에는 시장제도, 인프라, 정부행위, 규제집행, 자원요소의 통일과 내외부 시장의 지속적 개방이 포함된다. 시진핑 주석은 불공정 저가경쟁 해소, 품질 제고 유도, 낙후 생산능력의 질서 있는 퇴출, 정부조달 및 입찰 투명성 확보, 내외무역 통합, 수출 전환경로 개척, 세제 및 신용체계 정비 등의 구체 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지방정부의 정무성과 평가체계를 고도화해 실질적 고품질 성장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해양경제 발전에 대해서는 기술 혁신, 산업 현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정부가 자국 이익을 해친 혐의로 전 필리핀 상원의원 시에토 토렌티노(Chethor Tolentino)에 대한 제재를 공식 발표했다. 최근 잇따른 반중 언행이 양국 관계를 훼손했다는 이유다. 1일 중국 외교부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토렌티노 전 의원이 자국의 주권과 안전, 발전 이익을 침해하는 언행을 지속해왔다며, 이에 따라 중국 본토와 홍콩·마카오에 대한 입국을 전면 금지하는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필리핀 내 일부 반중 정치인이 사익을 위해 고의적으로 중국을 겨냥한 악의적 언행을 이어가고 있다"며 "중국은 자국의 정당한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렌티노 전 의원은 지난 수개월간 남중국해 문제를 중심으로 중국을 강하게 비판해 왔으며, 일부 현지 매체에선 이를 ‘대선 출마용 정치 퍼포먼스’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중국 측은 이번 제재가 특정 개인이 아닌, 자국의 국가 이익을 방어하기 위한 정당한 조치라고 선을 그었다. 이번 발표는 최근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조치로, 중국은 앞서 필리핀의 미국 밀착 외교와 자국 영해 내 감시 활동에 대해 강하게 반발해왔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2028년 화성 탐사선 톈원3호(Tianwen-3)를 발사해 2031년까지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단일 임무 시료 귀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임무는 드론을 활용한 무인 채취 방식을 채택해 착륙체 오염을 최소화하고 과학적 정밀성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1일 중국과학원(CAS) 허우정첸(侯增谦, Hou Zengqian) 원사는 중국과학보(China Science Daily)와의 인터뷰에서 “톈원3호는 단순한 공학적 시도에서 벗어나, 과학과 기술의 융합에 방점을 둔 전략적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임무 설계안에 따르면 톈원3호는 총 세 가지 방식으로 시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표면 흙을 긁어내는 방식, 2미터 깊이까지 드릴로 천공해 채취하는 방식, 그리고 드론을 통한 원격 채취 방식이다. 이 중 2미터 천공은 미국의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로버가 시도한 5밀리미터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세계 최초의 시도다. 퍼서비어런스는 관측과 채취만 수행하고, 시료 귀환은 향후 별도 임무에 의존해야 하는 반면, 톈원3호는 발사에서 귀환까지 모든 과정을 단일 미션으로 수행한다. 이번 임무의 전체 기간은 3년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정부가 올해를 ‘영화 소비의 해’로 지정하며 본격적인 내수 부양에 나선 가운데, 상반기 극장 관객 수가 6억4천100만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중국중앙TV(CCTV)는 국가영화국 통계를 인용해, 올해 상반기 중국 내 박스오피스 수익이 총 292억3천100만위안(약 5조5천252억원)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관객 수는 작년 동기 대비 16.89% 증가했으며, 매출은 22.91% 늘었다. 관객 증가의 중심에는 중국 국산 영화가 있다. 전체 매출의 91.2%를 자국 영화가 차지했으며, 박스오피스 1억위안(약 18억9천만원)을 넘긴 영화 25편 중 16편이 중국 작품이었다. 특히 음력설 시즌에 개봉한 중국 애니메이션 ‘너자2(哪吒2, Nezha 2)’는 단일 작품으로 관객 3억2천400만명을 끌어모으며 티켓 매출 154억4천만위안(약 2조9천184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 세계 애니메이션 중 박스오피스 1위, 전체 영화 기준으로는 5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너자2’는 중국 고전소설 봉신연의(封神演义)의 영웅 ‘너자’를 주인공으로 한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2019년 개봉한 전작 ‘너자, 악동의 탄생’ 역시 약 50억위안의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국가주석이 당의 생일인 7·1절을 맞아 집권 환경의 복잡성을 거론하며, 간부들의 자기혁명과 권력 규범화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1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열린 중앙정치국 집단학습에서 “중국식 현대화라는 막중한 임무를 안고 복잡한 집권 환경에 직면한 상황에서, 자기혁명의 끈을 더욱 강하게 당겨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당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자기혁명’을 인민의 감독과 함께 당의 생존 전략이라 규정하고, 지도 간부들이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시 주석은 이어 간부 선발 기준으로 당성, 충성도, 청렴도를 중시할 것을 주문하며, 반부패 추진의 일환으로 권력 운용의 절차화와 투명화도 강조했다. 권력의 위임·운영·통제를 통합하고, 추적 가능한 통제 메커니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당 중앙 의사결정 협조기구 공작조례’를 심의했다. 회의는 당의 집중통일영도를 제도적으로 완비하기 위한 조치로서, 협조기구는 책임과 지위를 명확히 하고, 중대 과업 집행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집단학습은 일부 해외 언론이 시 주석의 건강이상을 제기한 직후 열린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정부는 대만의 셰오메이친을 '부총통'이라 지칭한 일부 언론 보도에 강하게 반발하며, “대만은 중국의 일부로 어떤 식의 분리적 호칭도 인정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아울러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재개, 틱톡 매각 문제, 중·인도 국경 협상 등 다수의 외교 현안에 대해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셰오메이친이 “베이징의 위협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중국 외교관은 항상 주재국 법규를 철저히 준수해왔다”며 “민진당 당국이 외교 마찰을 유발해 중국과 수교국 간 관계를 파괴하려는 술수를 반복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셰오메이친이 지난해 3월 체코 방문 중 중국 외교관들이 그녀의 차량을 ‘고의 충돌’하려 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무근이며, 중국은 주권과 영토 문제에 있어 외교적 절차를 항상 엄격히 준수한다”고 일축했다. 이어 마오 대변인은 “대만은 중국의 불가분의 일부분이며, 이른바 ‘부총통’이라는 직책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언했다. 한편, 일본과 러시아 언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미국·러시아가 제2차 세계대전 승전 8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국가주석 시진핑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에콰도르 대통령 다니엘 노보아를 접견하고, 양국 간 전략적 협력 수준을 한층 격상시키는 데 뜻을 모았다. 노보아 대통령은 여름 다보스포럼 참석을 위해 중국을 공식 방문 중이다. 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번 회담을 통해 “중·에콰도르 관계는 상호 존중과 실질적 협력을 축으로 전면적 전략동반자 관계로 지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양국 수교 45주년이라는 역사적 이정표를 계기로, 양국 간 협력의 기반이 더욱 공고해졌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에콰도르가 ‘일대일로(一带一路, Belt and Road)’ 이니셔티브에 참여한 이후,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 체결과 에너지·광업·전력·인프라 등 분야에서 실질적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이같은 협력이 양국 국민에게 실질적 이익을 안겨주는 ‘장기적 전략구도’의 일환임을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양국이 ‘호혜적 친구이자 공동발전의 동반자’로서 다음 단계의 협력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서로의 핵심 이익과 주요 우려를 확고히 지지하며, 둘째, 정치·외교 채널을 포함한 다층적 교류를 강화하고, 셋째, 국정운영 경험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세네갈 신임 총리 송코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접견하며, 중아프 연대의 전략적 확장과 글로벌 남방(Global South) 내 중국의 주도권 강화를 공식화했다. 일대일로, 디지털 인프라, 문화교류를 포함한 다층적 협력이 회담 핵심의제로 제시됐다. 30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은 지난 27일 오전 여름 다보스포럼 참석차 방중한 세네갈 총리 우스만 송코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회담을 가졌다. 시 주석은 모두발언에서 “세네갈은 중국과 공동번영을 추구하는 동반자이자, 아프리카와 세계 남반구에서 전략적 이해를 공유하는 형제국”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양국은 독립적 발전 노선을 지지하고, 상호 정치 신뢰를 기반으로 협력해야 한다”며 “2026년 ‘중아프 인문교류의 해’를 계기로 문화, 교육, 관광, 체육, 청년 분야의 교류를 획기적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국의 대아프리카 외교 전략이 단순 인프라 투자에서 소프트 파워를 결합한 복합적 모델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시 주석은 또한 “세네갈이 중아프 협력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디지털 경제와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산업 분야에 중국 기업들이 적극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