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한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뛰어넘는 가운데, 올 상반기 가장 큰 폭으로 탑승객이 증가한 노선은 중국이었다. 6일 항공업계와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1∼6월 사이 국내 국제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탑승객은 총 4천602만9천여명으로, 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중 노선은 전년 동기 대비 152만명 증가한 781만명을 기록하며 단일 국가 노선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을 보였다. 중국 노선 이용 급증은 지난해 11월 중국이 한국인에 대해 비자 면제를 실시한 이후 여행 문턱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관광객 유입 회복세 속에서 한국 정부도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적 비자 면제를 추진 중이어서 향후 더 큰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일본 노선 역시 1천343만여명으로 120만명 가까이 증가했으며, 엔저 효과와 일본 소도시 노선 확대가 인기를 견인했다. 반면, 장거리 노선인 미주(332만여명), 유럽(225만여명), 중동(53만여명) 노선도 전년 대비 3~8% 수준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였다. 공항별로는 인천공항이 전체 국제선 수요의 78%인 3천611만명을 처리했고, 김해공항(492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 왕이(王毅, Wang Yi) 부장은 중동 위기의 핵심은 군사력이 아닌 정의라고 강조하며, “힘이 진정한 평화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밝혔다. 유럽 순방 중인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장노엘 바로(Jean-Noël Barrot) 프랑스 외교장관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부장은 지난 4일 “힘이 정의라는 논리 아래, 규칙과 공정의 자리는 어디에 있는가”라며 반문하고 “중소 국가들은 어떻게 자리를 찾을 수 있겠는가, 식탁 위에 놓인 고기처럼 아무 힘도 없이 무방비 상태로 있어야만 하는가”라고 비판했다. 왕 부장은 이날 이란 핵 문제와 중동 정세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이란 핵 협상이 애초에는 평화적 해결의 모범이 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중동의 또 다른 위기를 촉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평화의 문은 두드리고 있으나 아직도 열리지 않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이란 최고지도자의 ‘핵무기 개발은 없다’는 반복적인 공개 약속을 높이 평가하며, NPT 체제 하에서 이란이 평화적 핵 이용 권리를 갖는 것은 정당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모든 관련국은 조속히 협상을 재개해, 이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상무부가 유럽연합(EU)산 브랜디에 대해 최고 34.9%의 반덤핑 관세를 확정했다. 브랜디 산업에 대한 실질적 위협과 덤핑의 인과관계를 인정한 결정으로, 오는 5일부터 5년간 적용된다. 5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최종 조사 결과 유럽산 브랜디는 중국 시장에서 정당한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판매됐고, 이는 자국 산업에 실질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27.7~34.9%의 반덤핑세를 부과하는 한편, 관련 조건을 충족한 유럽 기업 34곳에 대해서는 가격약정 수용 방식으로 관세를 면제키로 했다. 상무부 무역구제조사국 대변인은 “약속을 이행할 경우 해당 기업의 제품에는 반덤핑세가 면제된다”며, 이는 중국 국내법과 세계무역기구(WTO) 규범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마텔(Martell)을 비롯한 EU 주요 브랜디 수출업체들이 참여한 가격약정은 향후 유럽 기업에 예측 가능한 수출 환경을 제공할 전망이다. 시샤오리(施晓莉) 중국정법대학 WTO법연구센터 소장은 “중국의 이번 조치는 WTO 규칙상 명확한 덤핑·피해·인과관계가 확인됐을 경우 가능한 정당한 조치”라며, “유럽 측에 충분한 협의 기회를 제공한 유연한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92세의 나이로 중국공산당에 입당한 국민배우 유벤창(游本昌, You Benchang)에게 깊은 감사를 전했다. 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 간부들에게 유벤창에게 당의 격려와 따뜻한 인사를 전달하도록 직접 지시했다. 시 주석은 유벤창의 당에 대한 신념을 "진정으로 마음을 울리는 감동"이라고 표현했다. 유벤창은 1933년생으로, 중국국가극원의 제1급 배우다. 평생을 무대와 스크린에서 헌신하며 수많은 국민에게 사랑받는 인물을 연기해왔다. 수십 년에 걸친 예술 인생을 통해 대중과 함께 호흡해온 그는, 92세가 되던 해 마침내 공산당 입당이라는 인생의 마지막 약속을 실현하게 됐다. 중앙조직부는 유벤창의 당 입당 사실을 시진핑 주석에게 공식 보고했고, 이에 시 주석은 "정신적 귀감이자 고결한 인격의 상징"이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유벤창은 젊은 시절부터 공산당 문예 방침을 신념으로 삼아왔으며, 오랜 기간 무대 뒤편에서도 동료 배우들의 정치 학습을 이끌어온 인물로 알려져 있다. 유벤창은 인터뷰에서 “젊었을 땐 역할을 통해 당의 정신을 전하려 했고, 늦게나마 직접 그 길을 걷게 되어 영광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미국이 주요 무역국에 향후 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 정부는 양국 정상 간 통화에서 이뤄진 합의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방침 발표와 관련된 질문에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중국의 관계 부처와 협의하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어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양국 정상 간 전화통화에서 도출된 주요 합의를 수호하고 실현하기 위해 미국 측이 구체적 조치를 취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노력이 중미 간 경제무역 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7월 4일 발표에서 "미국이 수입품에 적용할 관세율을 명시한 공식 서한을 10~12개 주요 교역국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혀, 사실상 무역 협상의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중국은 이와 같은 조치가 자국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두고 긴밀한 내부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고위층 역시 잇따라 미국과의 경제 대화의 중요성을 거론했다. 허리펑(何立峰, H
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지린성의 국도를 가로지르는 야생 호랑이의 출몰 장면이 공개돼 중국 전역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4일 현지 매체 베이징바오와 홍성신문은 지난 2일 오후 4시, 지린성 331번 국도에서 한 마리의 야생 백두산호랑이(둥베이후, 东北虎, Dongbeihu)가 포착됐다고 전했다. 영상에는 마치 산책하듯 도로를 활보하는 호랑이의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 무심한 듯 걸음을 옮기던 호랑이는 길을 건너다가 다시 뒤돌아 천천히 이동했고, 이내 숲으로 사라졌다. 스쿠터를 탄 사람이 지나쳤고, 마주 오던 차량 운전자는 차를 멈추고 이 장면을 핸드폰에 담았다. 이 호랑이는 몸집이 다소 수척하고 체구가 작아 보였으며,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는 "지난봄 가축 피해를 입힌 개체와 동일하다"는 추정이 나왔다. 실제로 지난 계절, 이 지역에서는 방목된 소 수십 마리가 호랑이의 공격을 받은 바 있다. 목격자는 지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예전에도 마을 인근에 내려왔던 그 호랑이와 닮았다"며 "사냥이 능숙하지 못해 사람이 있는 곳까지 내려온 것 같다"고 전했다. 중국의 네티즌들도 즉각 반응을 보였다. "실제로 마주쳤다면 기절했을 것 같다", "야생에서 제대로 먹지
더지엠뉴스 김대명기자 | 중국 정부가 유럽산 브랜디에 최대 34.9%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유럽연합(EU)의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에 대한 정면 대응으로, 양자 간 통상 갈등이 한층 격화되는 양상이다. 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오는 5일부터 EU에서 수입되는 특정 포도 증류주에 대해 5년간의 반덤핑 관세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품목은 '용량 200리터 이하 용기에 포장된 포도 증류주'로, 통상 브랜디로 분류된다. 적용 세율은 업체별로 27.7%에서 34.9%까지 다양하며, 대다수는 프랑스산이다. 이 조치는 EU가 중국 전기차 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여부를 문제 삼아 무역 조사를 착수한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2024년 1월부터 브랜디 수입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고, 이번 발표는 그 조사에 따른 최종 조치다. 중국 상무부는 일부 유럽 기업이 예비판정 이후 자발적으로 가격 약속을 제출했으며, 중국 당국은 이를 수용해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고 밝혔다. 단,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기업에는 예정된 관세가 전면 적용된다. 2024년 10월 11일부터 2025년 7월 4일까지 수입된 브랜디에 대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남태평양에 군사기지를 설치하려 한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주피지 중국대사관이 정면으로 반박했다. 대사관은 피지 총리 발언을 과장·왜곡한 호주 언론을 겨냥해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허위 내러티브”라고 밝혔다. 4일 대사관 발표에 따르면, 호주 언론들은 최근 피지 총리 시티베니 라부카(Sitiveni Rabuka)가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중국 군사기지 가능성을 부정하는 동시에 “환영하지 않는다”고 발언한 것을 부각했다. 그러나 중국 측은 해당 발언이 중국의 실제 의도와 활동을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사관은 “라부카 총리 본인도 중국이 군사기지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며, “중국은 단 한 번도 남태평양 지역에서 군사 분쟁을 일으킨 적이 없고, 현지 주권을 침해하거나 군사협정을 강요한 사례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의 활동은 인프라 구축과 민생 개선에 집중돼 있으며, 군사와는 무관하다”고 덧붙였다. 성명은 또한 “중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과 남태평양 비핵지대조약을 철저히 준수하며, 태평양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피지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안보 협력도 지속하고 있으며,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지난해 브릭스(BRICS) 10개국 태양광 발전량이 전 세계의 51%를 차지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서 핵심 세력으로 자리매김했다는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의 보고서가 나왔다. 4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인도, 브라질은 태양광 중심의 전력 전환을 이끄는 주요 국가로 부상했으며, 중국은 지난해 834테라와트시(TWh)의 발전량으로 세계 최대 태양광 전력 생산국 자리를 유지했다. 이는 미국의 3배 규모이며, 인도는 2019년 대비 4배 증가한 133TWh, 브라질은 75TWh로 독일을 제치고 세계 5위권에 진입했다. 태양광 발전 증가는 전체 전력 생산에서의 비중 확대로 이어졌다. 보고서는 2024년 브릭스 국가 전체 전력 수요 증가분의 36%가 태양광으로 충당됐다고 밝혔다. 이는 10년 전 0.25%에 불과했던 것에서 대폭 상승한 수치다. 엠버는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의 전력 수요 증가분이 모두 청정에너지로 충당됐다고 분석했다. 인도와 브라질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각각 32%, 35%의 태양광 발전 증가율을 기록하며 강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린보창(林伯强, Lin Boqiang) 샤먼대 에너지경제연구센터 소장은 중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 왕이(王毅, Wang Yi) 부장은 유럽 기업들이 제기한 희토류 수출 규제에 대한 우려에 대해 “중국과 유럽 사이에서 이 문제가 본질적 쟁점이 된 적은 없으며, 앞으로도 그래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4일 중국 외교부 발표에 따르면, 왕 부장은 전날 독일 외무장관 요한 바데풀(Johann Wadephul)과의 공식 회담 직후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희토류는 민감한 전략 자산인 만큼, 이중용도 품목에 대한 수출통제는 주권국가로서의 권리이며, 국제사회가 공통으로 이행해야 할 의무”라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또한, “중국은 법과 규정에 따라 수출 절차를 운영하고 있으며, 정당한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의 수요는 충분히 보장될 것”이라며 유럽의 기업들을 겨냥한 우려를 직접 반박했다. 중국 당국은 유럽 기업에 대해서도 ‘패스트트랙(fast track)’ 체계를 통해 효율적인 행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부 세력이 희토류 문제를 중국과 유럽 간 정치적 갈등으로 부풀리려는 시도에 대해 “불순한 의도가 있으며, 이는 사실과도 맞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 문제를 불필요하게 정치화하고 긴장을 유도하려는 행위는 양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