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상하이에서 개막한 중국국제수입박람회(中国国际进口博览会, Zhongguo Guoji Jinkou Bolanhui)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협력의 통로를 넓히며 세계 경제에 안정감을 더했다. 리창 총리는 고수준 개방과 제도형 개방을 꾸준히 확대하고 서비스업 전면 개방 시범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6일 중국 상무부(商务部, Shangwu Bu)에 따르면, 이번 행사는 155개국·지역과 국제기구가 참여했고 해외 전시업체 4108곳이 43만㎡를 넘는 전시 공간을 채웠다. 리창 총리는 개막 연설에서 경제 건설을 중심에 두고 고품질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는 최근 당이 ‘15·5’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의 발전 방향을 정리한 흐름과 맞물린다. 주최 측은 “참가 규모와 기업 구성이 모두 새 기록”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500대 기업 290곳이 부스를 열었고, 미국 기업은 7년 연속 가장 큰 전시 면적을 확보했다. 상하이(上海, Shanghai) 현지에서는 폴크스바겐 글로벌 이사회 회의와 알파라발의 현장 경영회의가 동시에 잡혔다. 로레알의 니콜라스 이에로니무스 CEO는 현장 첫 방문 소감을 전하며, 중국의 고수준 개방과 예측 가능한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상하이에서 열린 제8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가 세계의 시선을 끌었다. 리창 총리는 개막식 연설에서 개방과 협력의 확고한 의지를 재차 천명하며, 중국 경제의 예측 가능성과 지속 성장을 강조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진보회가 “중국의 개방 약속과 상호 이익 추구를 실천하는 장”이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최근 열린 공산당 20기 4중전회에서 ‘15·5’ 규획 건의안을 통과시키며, 장기적 발전의 방향을 확정했다. 리창 총리는 연설에서 경제 건설을 중심에 두고 고품질 발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제도적 개방 확대와 자주적 개방 조치를 통해 세계 경제 성장에 새 동력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진보회에는 150여 개 국가와 지역, 4100개 이상의 해외 기업이 참가했다. 마오닝 대변인은 “중국과 함께한다는 것은 곧 기회와 함께하는 것”이라며, 중국 대시장이 세계 성장의 중요한 엔진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브리핑에서는 여러 국제 현안에 대한 입장도 제시됐다. 대만 문제에 대해 그는 “하나의 중국 원칙 아래 중국 타이베이의 APEC 참여는 정치적 전제에 근거한다”고 밝히며 기존 입장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피지 대통령 라라바라부에게 축전을 보내 양국 수교 50주년을 기념했다. 두 정상은 반세기 협력의 성과를 평가하며, 새로운 단계의 전략적 협력을 약속했다. 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보낸 서신에서 “피지는 신중국과 가장 먼저 외교 관계를 수립한 태평양 섬나라로, 반세기 동안 양국은 국제 환경 변화 속에서도 상호 존중과 평등, 협력의 정신을 지켜왔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들어 ‘일대일로(一带一路, Yidai Yilu)’ 공동 건설이 성과를 거두며 양국 국민에게 실질적 혜택을 가져왔다”며, “이를 계기로 정치적 신뢰를 높이고 다방면 협력을 확장해 중피(中斐) 전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라라바라부 대통령은 “피지와 중국의 관계는 상호 존중과 공동 번영의 기반 위에 세워졌으며, 50년은 양국 역사에서 의미 깊은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그는 “양국 협력이 지역과 국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활력 있고 깊은 관계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리창(李强, Li Qiang) 중국 국무원 총리와 피지 총리 람부카 역시 축전을 교환했다. 리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갑자기 물을 찾는 횟수가 늘고 밤중 소변이 잦아졌다면, 몸이 과잉 포도당을 배출하려는 신호일 수 있다. 식후 쏟아지는 졸음과 쉽게 가시는 피로까지 겹치면 에너지 이용 과정에서 장애가 생겼다는 단서가 된다. 6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国家卫生健康委员会, Guojia Weisheng Jiankang Weiyuanhui)에 따르면, 혈당 이상은 생활 전반의 작은 변화로 조기에 포착하고 관리 강도를 높일수록 합병증 부담을 덜 수 있다. 대표 신호는 일곱 가지로 정리된다. 잦은 소변과 심한 갈증, 식후 급격한 졸림, 이유 없는 체중 감소, 손발 저림과 쥐 같은 말초신경 증상, 남성의 발기 기능 저하, 여성의 반복적 질염·방광염과 주기 불규칙이다. 포도당이 세포로 흡수되지 못하면 뇌와 근육은 에너지 부족으로 오인하고, 피로감과 졸음을 촉발한다. 배고픔이 잦아 섭취가 늘어도 체중이 줄 수 있는데, 이는 근육과 지방 분해가 동반되기 때문이다. 혈당이 높게 유지되면 미세혈관으로 가는 혈류가 손상돼 감각 둔화, 따끔거림, 저림이 이어진다. 남성은 음경 혈관 협착과 신경 손상으로 발기 유지가 어려워지고, 여성은 점막 방어력이 떨어져 감염 재발과 주기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학부 학생들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보낸 감사 서한이 양국 정상 외교의 새로운 상징으로 떠올랐다. 5일 중국 주한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한국외대 국제학부 학생회 대표를 통해 시 주석에게 보낸 학생들의 감사 편지에 대한 답례를 전달했다. 시진핑 주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주최한 환영만찬에서 “편지에는 한중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가 담겨 있었다”며 “청년은 양국 관계의 미래이며, 양국이 청년 교류를 확대해 우의를 대대로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시진핑 주석의 발언은 외대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답변이자, 양국 청년 교류 활성화를 중시하는 뜻의 표현”이라며 “이는 한중 정상이 이번 국빈방문을 통해 합의한 중요한 공감대 중 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한 중국대사관은 한국 사회 각계와 함께 양국 국민, 특히 청소년 간의 상호 이해와 우정을 심화시키겠다”며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발전하도록 민심의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이 대사는 조만간 한국외국어대를 직접 방문해 학생들과 의견을 나누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국외국어대 학
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이 신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했다. 5일 국가에너지국이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중국의 신에너지 저장 설비 용량이 1억 킬로와트를 넘어섰다. 이는 제13차 5개년 계획 말 대비 30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전 세계 신에너지 저장 설비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중국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와 안정적 전력 운영을 위해 에너지 저장 산업을 전략 산업으로 육성해왔다. 특히 북부 지역은 3,118만㎾를 운영 중으로 전체의 30.4%를 차지하며, 서북부는 2,672만㎾(26.1%), 동부는 1,655만㎾(16.1%)로 뒤를 잇는다. 국가에너지국은 현재 신에너지 저장 시설의 대형화가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고 밝혔다. 100메가와트(MW) 이상급 대형 발전소가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올해 1~3분기 전국 신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등가 이용 시간은 약 770시간으로 전년보다 120시간 증가했다. 이는 신재생 발전 효율을 높이고, 전력망 안정성과 전력 공급의 유연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정부가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관세 부과를 오는 10일 오후 1시 1분부터 중단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열린 미중 경제·무역 협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조치로, 양국 간 교역 안정화와 경제 협력 복원에 속도를 내는 신호로 해석된다. 5일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 발표에 따르면, 위원회는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추가관세를 부과하는 관련 공고(2025년 제2호)’에 따라 부과됐던 관세 중 일부를 10일부터 일시 중단한다. 또한 ‘미국산 수입품 추가관세 부과 관련 공고(2025년 제4호)’에 근거한 조정도 같은 날 동시에 시행한다. 이에 따라 미국산 제품에 적용되던 24%의 추가관세는 1년간 유예되며, 10% 관세는 유지된다. 위원회는 이번 결정이 ‘중화인민공화국 관세법’과 ‘대외무역법’ 등 관련 법률 및 국제법 원칙에 따라 국무원 승인을 거쳐 시행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관세 중단과 조정은 최근 미중 간 협상에서 합의된 경제협력 세부 이행 조치의 일환으로, 무역 갈등 완화와 공급망 복원을 위한 실질적 신호로 평가된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가 미국과 영국의 최근 행보를 강하게 비판하며, 니제르와 위네수엘라 등과의 협력은 주권국 간의 자주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니제르 내 기독교 위협”을 이유로 ‘특별관심국’ 명단에 추가하고 군사행동 가능성까지 언급한 데 대해 “종교나 인권을 구실로 한 내정 간섭은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니제르 정부가 자국 상황에 맞는 발전의 길을 걷는 것을 지지하며, 제3국이 제재나 무력 위협으로 간섭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영국 언론이 “중국 압박으로 인권 관련 연구가 중단됐다”고 보도한 데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며, 해당 인물은 반중 허위정보 유통망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그는 “소위 ‘학문 자유’ 명분 아래 허위 선전을 퍼뜨리고 특정 세력의 정치적 목적에 봉사하는 것은 결코 연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위네수엘라가 중국, 러시아, 이란으로부터 군사 장비를 도입하려 한다는 서방 보도에 대해서도 “중국과 위네수엘라의 협력은 양국 간의 정상적 교류이며 제3국을 겨냥하거나 간섭받지 않는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러시아가 정례총리회의 30주년을 맞아 전략 협력 관계를 한층 공고히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를 만나 양국 발전전략의 연계를 강화하고 협력 범위를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양국은 한층 높은 수준의 실질 협력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회담은 미슈스틴 총리가 3~4일 양국 정례총리회의 참석을 위해 중국을 방문한 일정의 일환이었다. 시 주석은 양국이 올해 들어 복잡한 외부 환경 속에서도 침착하게 대응하며 안정적 발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연속 회담을 통해 새 협력 청사진을 마련했다며, 양국은 정상 간 합의를 전면 이행하고 에너지·인프라·농업·항공우주 등 전통 분야와 인공지능, 디지털경제, 녹색전환 등 신산업 분야 협력을 동시에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슈스틴 총리는 푸틴 대통령의 인사를 전하며, 양국 정상의 전략 구상 아래 러중 포괄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항저우에서 열린 제30차 정례총리회의에서는 세관·위성항법 등 다수 분야 협력 문서와 공동성명이 서명됐다고 전했다. 양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세계 6대 인공지능(AI) 대형모델이 맞붙은 실전 투자대회에서 중국의 ‘천문(Qwen3-Max)’이 수익률 20%를 넘기며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미국의 GPT-5는 60% 손실을 기록해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5일 중국매체 펑파이신원(澎湃新闻, Pengpai Xinwen)에 따르면, 미국 AI 연구 플랫폼 Nof1은 지난 10월 18일부터 진행된 글로벌 AI 투자대회 ‘알파 아레나(Alpha Arena)’ 결과를 현지시간 3일 오후 발표했다. 참가한 여섯 개 모델은 알리바바의 천문(Qwen3-Max), DeepSeek v3.1, OpenAI의 GPT-5, 구글의 제미니(Gemini) 2.5 프로, Anthropic의 클로드(Claude) 4.5, 그리고 일론 머스크의 그록(Grok) 4였다. 각 모델은 동일하게 1만 달러(약 1,370만 원)의 초기자금을 지급받아, 사람의 개입 없이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플랫폼에서 디지털자산 실거래를 수행했다. 매수·매도 판단과 위험 관리, 포트폴리오 조정까지 모두 모델이 스스로 처리해야 했다. 경기 초반 DeepSeek이 최대 130%의 누적수익을 올리며 선두를 유지했지만,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