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딥시크(DeepSeek)가 메인 플랫폼의 핵심 모델을 예고 없이 바꿨다. 29일 확인된 바에 따르면, 전날 저녁 R1 모델의 경량 업그레이드 버전이 비공식적으로 배포됐다. 이 변화는 공식 웹사이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딥씽킹(Deep Thinking)’이라는 이름의 소형 테스트 미니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적용됐다. 딥시크는 별도의 발표 없이 커뮤니케이션 그룹을 통해 이를 알렸으며, 기존 사용자들은 아무런 설정 변경 없이 자동으로 새로운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API 인터페이스와 사용법은 기존과 완전히 동일하게 유지돼,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능상의 이질감 없이 새로운 알고리즘을 체감할 수 있다. 이번에 공개된 모델은 ‘R1 소형 버전’으로, 딥시크의 대표 모델 R1을 기반으로 한 경량화 업그레이드다. 딥시크는 지난달 Prover-V2를 통해 연산 효율성을 끌어올린 바 있으며, 이번 버전도 그 연장선으로 이해된다. 다만 많은 이들이 기다리던 R2 모델에 대한 언급은 이번 발표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경쟁사 알리바바는 최근 ‘첸원(Qianwen) 3’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가격경쟁력까지 확보했고, 텐센트는 영상 생성 AI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허리펑(何立峰, He Lifeng)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전날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미국 모건스탠리 공동 대표 댄 싱크위츠(Dan Simkowitz)를 접견하고, 외국계 금융기관의 중국 시장 참여 확대를 공식 환영했다. 29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허 부총리는 “중국은 고수준 대외개방을 통해 고품질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이는 중국과 세계 경제 모두에 활력을 불어넣는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모건스탠리를 포함한 미국의 장기 자본이 중국 자본시장 건설과 발전에 깊숙이 참여함으로써 양국의 상호 호혜적인 협력이 새로운 차원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최근 외국계 금융기관에 대한 접근 장벽을 단계적으로 완화하고 있으며, 이번 면담은 이러한 정책 기조를 대외적으로 천명하는 계기가 됐다. 특히 허 부총리는 “중국은 일관되게 고수준의 대외 개방을 지향하고 있다”며, 미국 금융자본의 참여 확대가 중국의 시장 체계와 글로벌 통합에 긍정적 신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싱크위츠 대표는 “중국 시장은 모건스탠리의 글로벌 전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미중 양국 간 건설적인 경제 대화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기업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중국이 자국 독자 기술로 개발한 행성 탐사선 ‘천문2호’ 발사에 성공하며 소행성 탐사 및 귀환 임무의 첫 관문을 넘었다. 29일 중국 정부에 따르면 천문2호는 전날 오전 1시 31분, 쓰촨(四川, Sichuan)성 시창(西昌, Xichang) 위성발사센터에서 장정(长征, Changzheng) 3B형 Y110 운반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탑재체는 약 18분 뒤 목표 궤도에 진입했고, 탐사선의 태양 전지판도 정상적으로 전개됐다. 이번 임무는 중국이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소행성 탐사 및 샘플 회수 프로젝트로, 천문2호는 지구 주변을 도는 준위성 ‘2016 HO3’를 목표로 하고 있다. 탐사선은 이 소행성을 근접 비행하며 표본을 채취한 뒤, 이를 지구로 가져오는 귀환 비행을 수행하게 된다. 귀환 시점은 2027년 말로 예정돼 있다. 천문2호는 임무 종료 후에도 탐사를 이어가며, 태양계 내 주대 혜성인 311P를 향해 비행을 계속하게 된다. 천문2호는 약한 중력 천체에서의 표면 샘플링, 고정밀 자율 항법 및 제어, 저추력 전이 궤도 설계 등 일련의 핵심 기술을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시에 소행성과 혜성의 궤도, 회전, 구조, 성분, 분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