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가 정인교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과 회동을 갖고, 한중 양국 간의 경제·통상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22일 중국 대사관에 따르면 양측은 전날 서울에서 만나 중한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 디지털경제 동반자 협정(DEPA),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다양한 다자 틀 속의 협력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다이빙 대사는 이번 면담에서 “수교 이후 30여 년간 중한 양국은 상호호혜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풍성한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하며, 지난해 양국 간 무역 규모가 3,280억 8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고, 올해 1~4월간 교역액 또한 1,025억 4천만 달러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또한 한중 간 누적 투자액도 1,100억 달러를 초과했다고 언급하며, “양국이 상호 실질적 협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기 위해 경제·무역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다이빙 대사는 중일한 FTA 협상의 조속한 재개 필요성을 언급하며, “한중 양국은 자유무역과 다자주의의 공동 수혜자이자 수호자”라고 언급했
월간 중국/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초여름의 공기가 부드럽게 감싸던 산둥(山东, Shandong)성 웨이하이(威海, Weihai) 바닷가에, 한국과 중국, 일본의 청년들이 함께 모였다. 28일 월간 중국에 따르면 ‘판다컵’ 한국 청년의 중국 이야기 글짓기 대회 시상식과 ‘함께 만드는 미래’ 중일한 청년 교류 행사가 지난 22일 현지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중국외문국을 중심으로 산둥대학, 주한 중국대사관이 함께 이끌었고, 칭다오(青岛, Qingdao)출판그룹과 아주뉴스코퍼레이션, 순천향대학교 공자아카데미 등이 공동 참여했다. 류다웨이(刘大为, Liu Dawei) 중국외문국 부국장, 차오셴창(曹现强, Cao Xianqiang) 산둥대학 부총장, 마치(马琪, Ma Qi) 칭다오출판그룹 부총경리 등이 현장을 찾았고,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는 영상으로 축사를 전했다. 이희섭 한중일3국협력사무국 사무총장, 미야모토 유지 전 주중 일본대사, 류창밍(刘昌明, Liu Changming) 산둥대학 교수도 각각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했다. 현장에는 글짓기 대회 수상자들을 비롯해 100여 명의 한국 대학생과 교수진이 함께했다. 다웨이 부국장은 문명의 유전자를
더지엠뉴스 관리자 기자 |서울에서 한국 정치 원로와 중국 외교대표가 나란히 마주 앉았다. 28일 주한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戴兵, Dai Bing) 대사는 지난 20일 이수성 전 국무총리를 만나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다이빙 대사는 이 전 총리가 중한 관계 증진에 오랜 시간 헌신해온 데 깊은 감사를 표했다. 이어 한국 정계의 원로로서 앞으로도 긍정적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수성 전 총리는 양국이 인접한 이웃으로서 오랜 시간 문화와 역사를 함께해왔다고 밝혔다. 특히 외세에 공동으로 대응해온 역사적 경험을 언급하며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금의 한중 관계가 과거 어느 때보다 긴밀하다고 평가했다.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상호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서울대학교 총장을 거쳐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국무총리를 역임한 인물이다. 퇴임 이후에도 한중 민간 교류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왔다. 이번 회동에는 팡쿤(方坤, Fang Kun)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와 김용덕 한국한중교류협회 회장이 배석했다. 대화는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양측은 앞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협력이 이어지기를 희망했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26일부터 29일까지 중국 동부 저장성 닝보에서 열린 '2025 해상실크로드 항만협력포럼'이 닝보저우산항의 스마트화와 녹색화 성과를 전면에 내세우며, 중국 주도의 글로벌 항만 네트워크 강화에 시동을 걸었다. 중국 국가급 전략사업인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대표 해상 거점인 닝보저우산항은 220km에 달하는 해안선을 따라 200여 개의 대형 선석을 보유한 세계 최대 물동량 항만이다. 포럼은 '녹색 공유, 스마트 연결'을 주제로, 중동, 아프리카, 유럽 등지의 항만들과의 협력 확대를 공식화했다. 전기와 태양광, 생물연료 등으로 전환 중인 항만 에너지 시스템은 포럼의 핵심 성과로 소개됐다. 2024년 가동된 '풍력+태양광+저장' 통합 에너지 프로젝트는 연간 5917만kWh의 청정 전기를 생산해 이산화탄소 2만2600톤가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올해 3월에는 중국 화동 지역 최초로 고유황 바이오 연료유 보세급유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주요 성분은 음식물 폐유 24%와 고유황 연료유 76%로 구성되며, 이를 사용하는 선박은 탄소배출을 약 20%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컨테이너 해운의 정시성 개선과 비용 절감을 위해 도입한
[더지엠뉴스]경남 남해안의 수산도시 통영이 중국 최남단의 열대 도시 단저우(儋州, Danzhou)와 교류의 문을 열었다. 26일 통영시에 따르면, 통영시와 중국 하이난성(海南省, Hainan)의 단저우시는 지난 23일 통영시청에서 농수산 분야 교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공식 교환했다. 단저우시에서는 천양(陈阳, Chen Yang) 시장이 직접 방한해 서명에 참여했고, 통영시에서는 천영기 시장이 맞이했다. 이번 협약은 두 도시의 지역 특산품을 중심으로 상호 교역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실질적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통영은 ‘대한민국 수산 1번지’로 불릴 만큼 해산물 중심의 산업이 발달한 도시다. 반면 단저우는 열대과일을 포함한 농산물 생산지로 알려진 곳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아열대 도시로 꼽힌다. 이러한 상이한 기후와 산업구조는 오히려 두 도시가 상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협약에 따라 통영과 단저우는 해산물과 열대과일을 중심으로 수출입 구조를 점차 정비해 나가고, 필요시 행정 교류와 인적 왕래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지역 수산업의 해외 판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한중 도시 간 신뢰와 우정을
[더지엠뉴스]샤오미가 전기 SUV ‘YU7’을 정식 공개하며, 테슬라가 장악한 중고급 순수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인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날 함께 발표된 3나노 공정 자사 칩셋 ‘쉬안제O1’은, 단순한 차량 공개를 넘어 샤오미의 기술 독립 선언이자 산업 전략 재정비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졌다. 23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YU7은 전장 4,999mm, 휠베이스 3,000mm 규모의 중대형 SUV로, 기본형은 단일 후륜 구동, 상위 모델은 듀얼 모터 사륜 시스템을 채택했다. 최고 사양 모델은 240km/h까지 속도를 낼 수 있으며, 96.3kWh 배터리를 기반으로 최대 835km 주행이 가능하다. 모든 트림은 라이다(LiDAR) 센서, 4D 밀리미터파 레이더, 700TOPS급 엔비디아 오린X 칩을 전 모델에 기본 탑재했다. 레이쥔(雷军) 샤오미 회장은 전날 발표회 연단에서 “일부에서 언급된 19만9000위안 가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으며, “모델Y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사양을 갖춘 만큼, 가격은 30만 위안 이상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가격 공개는 상반기 내 상장 이후로 미룬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공개 직후, 일부 온라인 중고 플
[더지엠뉴스]서울 영등포의 한 초등학교에서 한자 문화를 매개로 한 특별한 문화 행사가 열렸다. 22일 중국 대사관과 관련 기관에 따르면, ‘2025 한자 카니발’ 해외 순회 전시 서울 행사가 지난 13일 영등포화교소학교에서 개막했다. 이번 전시는 베이징해외연의회와 베이징 하이뎬구해외연의회가 공동 주최하고, 북경국제한어학원, 한화중국화평통일촉진연합총회, 중국재한교민협회총회, 영등포화교소학교가 함께 주관했다. 개막식에는 자오위진 베이징해외연의회 부회장을 비롯해 왕하이쥔 양총회 회장, 진사의 영등포화교소학교 교장 등 여러 인사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중훙눠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겸 총영사는 축사를 통해, “한자는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중한 양국의 문화적 연결고리로서, 두 나라 인문 교류의 역사에 깊이 새겨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해 재한 중국계 청소년들이 자신의 문화적 뿌리를 확인하고, 한국인들이 중국 문화의 넓이와 깊이를 직접 체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시장에는 한자의 기원과 진화 과정, 베이징 중축선의 역사와 의미를 설명하는 자료들이 다채롭게 전시됐다. 참가한 학생들과 교사들은 전시를 관람하며 한자 조각 맞추기, 목판 인쇄,
[더지엠뉴스]중국 장가항시가 5월 20일 서울에서 한국 기업들을 위한 투자설명회를 열었습니다. 조유 부시장과 서계춘 서기가 직접 방한해 기업 유치를 강조했습니다. 현대위아·한국제지 등 기존 진출 기업과 신규 진출 희망 기업 50여 개가 참석했습니다. 스맥·라메디텍 등 6개 기업은 현장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장가항 한국공단엔 이미 70여 개 한국 기업이 진출했거나 협약을 맺었습니다.
[더지엠뉴스]중국 장쑤성 장가항시가 5월 20일 서울에서 한국기업 대상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조유 부시장과 서계춘 서기 등 장가항 고위급 인사들이 직접 방한해 협력 의지를 밝혔습니다. 설명회에는 현대위아, 한국제지 등 기존 진출 기업과 장가항 진출을 검토 중인 50여 개 한국기업이 참석했습니다. 스맥, 라메디텍 등 6개 기업은 장가항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진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장가항 한국공단은 200만㎡ 규모로 조성 중이며, 70여 개 한국기업이 이미 진출하거나 협의를 마쳤습니다.
[더지엠뉴스] 중국 장쑤성(江苏省) 장가항시(张家港市)가 한국 기업 유치를 위한 대규모 투자설명회를 서울에서 열며 본격적인 한국 진출에 나섰다. 장가항시는 제조업과 항만 물류가 발달한 도시로, 한국 기업을 위한 전용 산업단지를 조성하며 양국 간 산업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20일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소피텔 앰배서더 서울 호텔 & 서비스드 레지던스 4층 그랜드볼룸 방돔에서 ‘장가항(서울) 사업환경 설명회’가 개최됐다. 이번 설명회는 장가항시 인민정부가 주최하고, 장가항시 한국공단이 주관했으며, 한국투자파트너스가 후원 기관으로 참여했다. 장가항시 측에서는 조유 부시장, 외사처 엽신 주임, 인민정부 비서실 조중화 부실장, 상무국 장민 부국장 등이 방한했으며, 장가항 한국공단 서계춘 서기, 김준성 국장 등 간부진도 함께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제지, 현대위아, 코오롱글로텍, 아이센스, 아스플로 등 장가항 진출 기업은 물론, 장가항 진출을 검토 중인 한국 기업 50개사가 참여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행사는 오후 3시 30분 등록으로 시작됐고, 한국공단 홍보 영상을 상영하며 분위기를 조성한 후, 사회자의 오프닝 소개로 본격적인 일정이 진행됐다. 이어 장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