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이 중남해에서 벨라루스 대통령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를 접견하고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을 강화할 뜻을 밝혔다. 국제무대에서의 공조와 일방주의에 대한 공동 대응도 함께 언급됐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열린 회담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의 재선을 축하하며, 중국과 벨라루스는 오랜 신뢰와 우의 속에 협력을 확대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은 정치적 신뢰가 굳건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성과를 쌓아왔다”고 평가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은 벨라루스를 진정한 친구이자 믿을 수 있는 파트너로 본다”며 “양국은 유엔과 상하이협력기구 등을 중심으로 국제 공정과 정의를 수호하고, 패권과 강압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이번이 중국 방문 15번째이며, 중국의 깊은 우정과 변함없는 지원에 깊이 감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벨라루스는 중국을 완전히 신뢰하고 있으며, 대중 협력을 흔들림 없이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이 보여준 다자주의 원칙과 대외정책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담에는 왕이(王毅, Wang Yi) 외교부장도 동석해 외교 채널의 지속적 공조를 확인했다. 벨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정부가 에어버스(Airbus)로부터 최대 500대의 항공기를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대규모 주문은 유럽 지도자들의 베이징 방문 시기에 맞춰 발표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럽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중국의 전략으로 해석된다. 5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에어버스의 협소동체(narrow-body) 및 광동체(wide-body) 항공기를 포함한 대규모 주문을 검토 중이며, 주문 규모는 300대에서 최대 500대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지난해 시진핑 주석의 프랑스 방문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유럽 지도자들의 중국 방문에 맞춰 공식 발표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주문은 2022년 중국이 에어버스에 300대의 항공기를 주문한 이후 최대 규모로, 당시 계약 규모는 약 370억 달러(약 50조 원)에 달했다. 에어버스는 현재 중국 내에서 보잉보다 더 많은 항공기를 운영 중이며, 중국 항공사들의 에어버스 항공기 보유 대수는 1,100대를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보잉은 최근 몇 년간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인해 주요 주문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2017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공안당국이 항일전쟁 관련 역사 왜곡 행위에 대해 엄정한 대응에 나섰다. 최근 인터넷상에서 허위 사실을 퍼뜨린 이용자 두 명이 공식적으로 법적 조치를 통보받았다. 5일 중국 공안부 사이버안전국에 따르면, 저장성과 랴오닝성 등지에서 각각 활동한 두 명의 네티즌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항일전쟁 당시 주요 전투와 관련한 왜곡된 정보를 게시한 사실이 적발됐다. 이들은 사실과 다른 역사적 해석과 조작된 사진을 포함해, 항일전 영웅과 희생자에 대한 모욕성 표현까지 포함한 것으로 조사됐다. 관영 매체 환구시보는 전날 보도를 통해 이들이 '역사를 왜곡하고 사회주의 핵심 가치에 어긋나는 콘텐츠'를 반복적으로 유포했다고 전하며, 공안기관은 이들을 ‘질서 교란 및 허위정보 유포’ 혐의로 정식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과 문화관광부, 교육부 등 관계 부처는 이 같은 위반 행위에 대해 “국가 역사 존엄성과 사회적 책임을 훼손한 중대한 사례”로 규정하고, 후속 교육 강화 및 플랫폼 검열 강화를 예고했다. 중국은 올해 9월 3일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을 앞두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 모두에서 역사 왜곡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핵 전략의 중추로 꼽히는 둥펑(东风, Dongfeng)-5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성능을 관영 매체를 통해 처음으로 상세히 공개했다. 핵 전력 투명성 확대가 아닌, 핵보유국으로서의 전략적 메시지를 대외적으로 발신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중앙TV(CCTV)는 전날 보도에서 둥펑-5B형 ICBM이 TNT 폭발력 300만~400만t에 달하는 핵탄두 1기를 탑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는 1945년 히로시마에 투하된 미국 원자폭탄의 위력 대비 약 200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해당 미사일은 사거리 1만2천㎞로, 미국 전역은 물론 서유럽 대부분을 타격권에 둔다. 보도는 또한 이 미사일의 탄착 정확도가 500m 이내이며, 길이 32.6m, 직경 3.35m, 발사 중량은 183t에 달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그간 핵무기 관련 정보에 대해 극도로 제한된 접근만 허용해왔다는 점에서 이번 공개는 이례적이다. SCMP는 CCTV가 왜 이 시점에 제원을 밝히기로 했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중국 군사전문가 쏭중핑(宋忠平, Song Zhongping)은 “메시지는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서비스업 경기가 5월 들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의 고관세 조치가 이어지는 가운데에서도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내수가 일정한 탄력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차이신(财新, Caixin)과 로이터에 따르면, 5월 중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1.1로 집계됐다. 전월 수치인 50.7보다 0.4포인트 상승한 수치이며, 시장 전망치였던 51.0도 소폭 웃돌았다. 서비스업 PMI는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밑돌면 수축을 의미한다. 이번 반등은 앞서 3월(51.9)에서 4월(50.7)로 급락했던 흐름에서 벗어난 것으로, 차이신은 이를 ‘깜짝 반등’으로 평가했다. 이 지수는 대형 국유기업보다는 민간, 수출 지향형 중소기업의 경기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이신은 이번 수치가 서비스 산업 전반의 공급과 수요가 모두 소폭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공식 서비스업 업황지수도 5월 기준 50.2로, 전월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정부 주도의 안정적 흐름이 민간 지표에서도 이어졌다는 점에서 공통적인 흐름을 보였다. 차이신은 서비스업 기업들이 신규
더지엠뉴스 바이두 기자 |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1~4월 사이 민간 부문 경제활동이 전체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주요 경제지표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산업·투자·소비 등 주요 영역에서 민간 경제의 활약이 가시화되며 구조적 개선이 이어지고 있다. 5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 기간 동안 민간 기업 산업생산 증가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했으며, 특히 민간 부문 고정자산투자가 전체 투자 회복의 중요한 지지축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민간 부문 산업 증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해 국유 부문보다 0.6%p 높았다. 민간 고정자산투자도 1.2% 늘어나며, 중서부 지역과 제조업 분야에서 활발한 투자 흐름을 주도했다. 특히 하이테크 제조업과 전기차·신에너지 장비 관련 산업의 투자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서비스업은 민간 경제 회복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했다. 숙박·요식업, 문화·레저 산업의 민간기업 매출은 각각 21.4%, 18.1%의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관광지, 음식점, 공연 시장 등에서 민간 자본의 적극적 참여가 수요 회복을 견인한 결과로 분석된다. 소비 측면에서는 민간 브랜드 상품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이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국가적 기념사업을 대대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가장 상징적인 역사 전략으로 ‘항일민족통일전선(抗日民族统一战线)’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 이는 마오쩌둥(毛泽东, Mao Zedong) 주석이 전 민족의 운명을 걸고 설계한 정치·군사적 합작 전략으로, 중국공산당이 주도한 항일 전쟁의 결정적 전환점이었다. 1937년 7월 7일, 베이핑(北平, 지금의 베이징) 외곽에서 벌어진 루거우차오(盧溝橋, 노구교) 사건은 일본 제국주의의 전면적인 침략의 서막이자, 중국 전역을 휘감은 항전의 기폭제였다. 이 위기 앞에서 중국공산당은 즉각적으로 국민당에 협력을 제안하며, 과거 내전의 골을 딛고 민족 생존을 위한 연합을 선언했다. 이른바 제2차 국공합작(第二次国共合作)이다. 이는 마오쩌둥이 1935년 즈푸(遵义) 회의 이후 당 중앙의 실권을 잡고 처음으로 제안한 전국적 통일전선 전략이기도 했다. 공산당은 자체 조직인 홍군(红军)을 정비해 국민당 정부군 체계에 편입시키고, 명칭을 '팔로군(八路军)'과 '신사군(新四军)'으로 개칭했다. 형식적으로는 국민당 소속이지만, 지휘권은 공산당이 유지한 이 전략은 독립성과 조직력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한중 양국은 새로운 정치 국면을 맞아 외교적 메시지를 교환하며 관계 정상화를 모색하는 신호를 보냈다. 중국은 한국 정부의 외교 균형을 촉구하며 미국의 내정 간섭을 강하게 비판했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국가주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축전을 보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축전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하며, “중한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라며 “수교 당시 초심을 지키고,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린젠은 “중한 관계 발전의 근본 동력은 양국의 공동이익에서 비롯되며, 제3국을 겨냥하거나 그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중국은 일관되게 진영 간 대결이나 편 가르기를 반대하며, 한국과 함께 건강하고 안정적인 양자관계를 조성해 양국 국민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지역의 평화·안정·번영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 방송사 채널A 기자가 “중국 언론은 한국 대통령이 균형 잡힌 외교정책을 채택하길 바란다고 보도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미국의 모델 겸 기업가 카일리 제너(Kylie Jenner)를 흉내 내려는 성형 요청이 폭증하고 있다. 특히 그녀의 가슴 성형과 관련된 수술 요청이 특정 성형외과에 쏟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4일(현지시간) 미국 연예 전문매체 TMZ는 로스앤젤레스에서 활동 중인 한 성형외과 전문의의 인터뷰를 단독 보도했다. 해당 의사는 제너의 수술 전후 사진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된 이후, ‘카일리처럼 만들어 달라’는 요구가 폭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하루 평균 300건 이상의 상담 요청을 받고 있다”며 “모두 제너의 특정 부위 모양을 기준 삼아 요구한다”고 털어놨다.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현상은 제너가 최근 새로운 수영복 화보를 공개한 뒤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그녀의 SNS에는 “어느 병원에서 했느냐”, “어떤 크기를 넣었느냐”는 질문이 수천 개씩 달리고 있으며, 일부 게시물은 수백만 회 이상 조회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성형외과는 상담 및 수술 예약에 제한을 두기 시작했다. 병원 관계자는 TMZ에 “수술 안전성과 진료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하루 예약 수를 제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배우 김혜은이 유시민 작가를 겨냥한 글로 촉발된 논란에 대해 대선 직후 자필 사과문을 공개하며 입장을 밝혔다. 4일, 김혜은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자필로 쓴 편지를 올리고 "지난달 31일 작성했던 글로 인해 상처받은 모든 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전했다. 자필 편지에서 그는 대선 개표가 마무리된 시점을 골라 조용히 글을 올린 이유에 대해 “국민의 선택을 지켜보는 시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라고 밝혔고, “뜻하지 않게 실망을 드린 분들에게 모든 책임은 제게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말의 무게를 다시 배웠다”며 “앞으로는 배우로서 사회적 영향을 신중히 고민하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김혜은은 유시민 작가가 설난영 여사에 대해 한 발언을 비판하는 취지의 글을 SNS에 올린 바 있다. 해당 글에서는 “서울대 학력이 부끄럽다”는 표현이 포함돼 있었으며, 이는 서울대 출신 유시민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김혜은 또한 서울대 성악과 출신이다. 논란의 계기가 된 유시민의 발언은 5월 28일 유튜브 '다스뵈이다'에서 나왔다. 당시 그는 설난영 여사를 언급하며 “이 사람이 공중에 떠 있는 상태”, “대선 후보 배우자 자리엔 맞지 않는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