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회담을 통해 양국 현안을 논의할 것이라는 공식 입장이 나왔다. 중국은 이번 만남을 통해 사회주의 노선을 공유하고 협력의 폭을 넓히겠다는 구상을 드러냈다. 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서기 겸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했다”며 “양국 지도자는 회담을 통해 중조 관계와 공동 관심사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회담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궈 대변인은 이어 “중국은 북한과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긴밀한 교류와 협력을 확대하며, 국정 운영 경험을 공유하길 원한다”며 “양국 사회주의 사업과 전통 우호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일 평양에서 전용 열차로 출발해 2일 베이징에 도착했으며, 3일에는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열병식에 참석했다. 그는 행사 뒤 인민대회당 리셉션에서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했고, 푸틴 대통령과 별도 회담도 진행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은 2019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조중 전쟁 발발 72주년을 맞아 중조우의탑을 찾아 중국 인민지원군 희생자들에게 조의를 표했다. 27일 중국중앙(CCCTV)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날 평양에 위치한 중조우의탑을 찾아 화환을 바치고 묵념하며 중국군 열사들의 넋을 기렸다. 중조우의탑은 한국전쟁 당시 참전한 중국 인민지원군 병사들의 희생을 기리는 기념물로, 북중 간 '혈맹 관계'의 상징으로 간주된다. 김 위원장은 탑 앞에서 당·정 고위 간부들과 함께 조용히 고개를 숙이고, 직접 명패에 헌화했다. 행사에는 북한 조선노동당 주요 간부들과 중국 측 외교대표도 동행했으며, 현장에는 "조중 친선은 영원할 것이다"는 문구가 울려 퍼졌다. 중국 네티즌들도 댓글을 통해 "의용군 순국열사는 불멸"이라며 양국의 우호를 재확인하는 목소리를 보탰다. 이번 헌화는 북중이 외교·군사적 연대를 대외에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행보로, 양국이 한국전쟁 이후에도 '전우'로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중국 내 관영매체들은 김정은 위원장의 헌화 소식을 톱뉴스로 보도하며 북중 관계의 전략적 깊이를 강조했다. 중조우의탑은 평양시 중심부 대동강변에 위치해 있으며, 매년 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