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 후난성의 한 고속도로. 지난달 29일, 12명의 생명을 태운 관광버스가 위태롭게 흔들리며 차선을 넘어섰다. 그 순간, 운전석에 앉아 있던 41세의 남성 샤오보(肖波, Xiaobo)는 이미 뇌간 출혈로 의식이 희미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정말 끝까지 핸들을 놓지 않았다. 한국인 단체 관광객 11명과 중국인 가이드 1명을 태우고 있던 그 버스는 빠르게 달리는 고속도로 위에서 방향을 잃어가고 있었다. 당황한 가이드가 “무슨 일이에요!”라며 고함을 지르는 순간, 샤오보는 정신을 잇는 마지막 한 줄기의 의식으로 손을 뻗어 사이드 브레이크를 당겼다. 차량은 흔들리다 멈췄고, 모두가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다. 그는 그 자리에서 그대로 쓰러졌다. 12일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샤오보는 그 즉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다시 눈을 뜨지 못했다. 의료진은 그가 운전 중 갑작스러운 뇌간 출혈을 겪었다고 밝혔다. 끝까지 제어력을 잃지 않고 버스를 세운 건 기적에 가까운 일이었다. 샤오보는 전직 군인이었다. 평생을 책임과 질서로 살아왔던 그답게, 마지막 순간까지 목숨보다 먼저 생각한 건 자신이 태운 승객들이었다. 소식을 접한 한국 관광객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정부와 관영 매체들이 미국의 이란 핵시설 폭격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국제법과 유엔헌장 위반이라는 주장과 함께 중동 지역 불안정 심화에 대한 우려가 잇따랐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미국이 이란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 핵시설을 폭격한 데 대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독 하에 있는 민감한 시설을 공격한 것은 유엔헌장과 국제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전날 밝혔다. 이어 “미국의 일방적 군사행동은 중동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며, 이스라엘과 이란 간 충돌 확대를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中国日报, China Daily)는 이날 논평에서 “이번 공격은 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좌절시키고 협상 노력을 궤도에서 벗어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또 “국제사회의 규칙 기반 질서를 약화시키고 있으며, 추가 분쟁은 에너지 안보와 세계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관영 글로벌타임스(环球时报, Global Times)도 “미국이 유엔헌장과 국제법을 노골적으로 훼손하며 ‘힘이 곧 정의’라는 논리를 앞세웠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스라엘이 이를
[더지엠뉴스] 중국 정부가 2025년 정부 업무 보고를 통해 경제 회복과 지속적인 성장 전략을 발표한 가운데, 상하이가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0일 중국 관영 매체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중국의 주요 경제 허브인 상하이는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개방 확대, 외국인 투자 유치, 자유무역지구(FTZ) 발전, 신산업 육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상하이는 지난해 중국 국무원이 승인한 ‘상하이 동부 허브 국제 비즈니스 협력 구역’ 구축을 통해 개방 확대에 나섰다. 이 구역에서는 푸둥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외국인이 별도의 비자 심사 없이 30일 동안 체류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국제 비즈니스 교류를 활성화하고, 단기 출장객들에게 보다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다. 외국인 투자 유치도 활발하다. 일본 도요타는 2025년 2월, 상하이에 완전 소유형 자회사를 설립해 렉서스 브랜드의 배터리 및 전기차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을 발표했다. 해당 공장은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내 외국계 자동차 기업의 두 번째 완전 소유 공장이 될 전망이다. 또한, 상하이 린강(临港) 특별구에서는 지난해 중국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