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중국은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전국 31개 성·시·자치구에서 대규모 기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항일전쟁기념관이라는 공간이 있다. 현재 중국 전역에는 크고 작은 항일기념관이 500곳 이상 존재하며, 이는 단순한 유적지 보존을 넘어 국가적 정체성과 민족 통합의 상징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념관은 베이징(北京, Beijing)의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中国人民抗日战争纪念馆, Zhongguo Renmin Kangri Zhanzheng Jinianguan)’이다. 이곳은 루거우차오(盧溝橋, Lugouqiao) 인근에 위치한 항일전쟁 발발의 현장에 세워졌으며, 중국공산당이 주도한 항전 서사를 전면에 배치하고 있다. 전시관은 마오쩌둥(毛泽东, Mao Zedong)의 전략 지도, 팔로군(八路军, Balu Jun)과 신사군(新四军, Xinsijun)의 전투 장면, 민중의 참여 등으로 구성되며, 항일 전쟁을 '전 인민의 항전'으로 재현한다. 동북3성 지역에는 지역별 항전의 기억을 담은 기념관들이 촘촘히 들어서 있다. 지린성(吉林省, Jilin Sheng)의 퉁화(通化, Tonghua)에는 ‘동북항일연군기념관(东北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항일전쟁 승리 80주년을 맞아, 중국 전역의 도시들이 자국 역사에서의 항전 기억을 재조명하고 있다. 특히 베이핑(北平, 현재 베이징), 상하이(上海), 충칭(重庆) 세 도시는 각기 다른 전쟁 체험과 전략적 역할을 수행하며 항일 전선의 중심에 서 있었다.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盧溝橋, 노구교) 사건은 베이핑에서 발생했다. 이 사건은 중일전쟁 발발의 기점이자, 중국 전체가 항전 체제로 진입하는 결정적 분수령이었다. 베이핑은 당시 국민당 정부의 북방 전략 거점이었으며, 사건 직후 일본군의 대대적인 공격으로 함락됐지만, 중국공산당은 이 지역을 항전의 정신적 출발점으로 삼았다. 오늘날 베이징은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中国人民抗日战争纪念馆)’을 중심으로 매년 수백 건의 교육·기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루거우차오 인근 완핑성(宛平城)은 보존 상태가 우수한 전쟁 유적지로, 청소년과 당원 교육의 핵심 공간으로 활용된다. 중국 중앙TV(CCTV)는 2025년 항일 80주년을 맞아 ‘첫 번째 총성’이라는 특집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베이핑이 항전의 시작을 알린 도시”라는 메시지를 강조했다. 반면 상하이는 항일전쟁 초기 가장 치열한 전면전이
[더지엠뉴스] 항일전쟁(抗日战争)은 중국 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쟁 중 하나로, 일제 침략에 맞서 싸운 중국의 역사적 투쟁이다. 2025년은 항일전쟁 80주년이 되는 해로, 중국은 이 전쟁을 통해 국민의 단결과 민족적 자존심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중국 관영 매체와 정부는 항일전쟁의 주요 전투를 통해 역사 교육과 국민 단합을 독려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중국이 기억하는 대표적인 10대 전투를 중심으로 그 역사적 의미와 오늘날 중국 사회에서의 해석을 살펴본다. 상하이 전투(淞沪会战, Songhu Battle) 상하이 전투는 1937년 8월 13일부터 11월 12일까지 약 3개월 동안 지속된 대규모 전투로, 중국군과 일본군이 상하이(上海, Shanghai) 지역을 둘러싸고 격렬하게 싸웠다. 상하이는 중국의 경제적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 일본군은 상하이를 점령하여 중국을 압박하려 했고, 중국군은 이를 저지하려 했다. 처음에는 중국군이 일본군의 진격을 막아내며 강한 저항을 보였으나, 일본군은 해군과 공군을 동원해 강력한 공세를 펼쳤다. 특히 상하이 외곽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는 도심 전투로 이어지며 민간인 피해도 막대했다. 일본군의 현대적 무기와 강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