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세계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과학자 100명 가운데 절반이 중국 국적이거나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로 확인됐다. 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 사이에 발표된 주요 학술 논문 약 9만6천 편과 20만 명의 연구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계 ‘톱100 AI 과학자’ 명단이 추려졌으며, 이 중 50명이 중국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명단은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산하 중국투자진흥사무소(ITPO 차이나)와 선전(深圳, Shenzhen) 소재 기술기업 둥비(Dongbei)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서 발표됐다. 특히 미국 내 상위 AI 과학자 20명 중 절반도 중국계로 분류됐다. 국가를 막론하고 세계 AI 연구의 중심에서 중국계 인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인 셈이다. 명단은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 AI 콘퍼런스에서 공개됐으며, 개별 순위는 별도로 발표되지 않았다. 중국계 인재의 글로벌 활동은 미국 주요 대학과 빅테크 기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선구자로 평가받는 허카이밍(Haikang He) 매사추세츠공대(MIT) 조교수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스마트기기 제조업체 샤오미(小米, Xiaomi)가 내놓은 첫 AI 안경이 출시 직후 폭발적인 판매량을 기록하며 ‘AI 백경전(百镜战)’ 경쟁 구도의 중심에 떠올랐다. 2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샤오미가 ‘차세대 개인형 스마트 디바이스’로 내세운 AI 안경은 발매 후 5일 만에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량 1만 개를 돌파했고, 상하이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변색 렌즈 모델이 품절됐다. 일부 기본형 제품만 소량 남아 있으며, 인기 제품은 배송까지 2주 이상이 걸리는 상황이다. 샤오미 CEO 레이쥔(雷军, Lei Jun)은 해당 제품이 1,200만 화소 카메라와 AI 기반 음성 인식, 실시간 영상 공유 기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기본 가격은 1,999위안(약 38만 원)으로 책정됐으며, 실시간 1인칭 시점 영상 녹화, 번역, 통화, 영상 스트리밍 등도 가능하다. 이 제품의 강점은 영상 촬영 기능이다. 안경을 쓰고 시선을 향하면 자동으로 영상이 녹화되고, 해당 영상은 바로 스마트폰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일부 소비자는 “프레임이 무겁고 두껍다”거나 “실시간 대화 기능이 지연된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샤오미의 AI 비서 ‘샤오아이’ 호출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샤오미가 1999위안(약 38만 원)짜리 AI 안경을 공개하며 글로벌 기술기업 간 착용형 전쟁에 불을 붙였다. 올해 들어 AI 안경 시장이 급격히 달아오른 가운데, 샤오미는 자사 생태계와 호환되는 초경량 AI 웨어러블을 선보이며 가격, 무게, 기능을 무기로 시장 재편에 나섰다. 27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샤오미(小米, Xiaomi)는 전날 ‘AI 시대 개인의 두 번째 디바이스’로 불리는 신형 AI 안경을 정식 출시했다. 시작가는 1999위안(약 38만 원)으로, 메타(Meta)의 Ray-Ban 제품군보다 훨씬 저렴하다. 이번 제품은 음성 기반 비서 기능과 1인칭 촬영, 상황 감지 기능까지 탑재했으며, 무게는 40g에 불과하다. 기존 메타의 Orion 콘셉트 안경이 98g인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 수준이다. 기존 AI 안경은 음성 또는 촬영 중심의 기능에 국한됐으나, 샤오미는 향후 AR 디스플레이 결합도 염두에 두고 하드웨어 확장성을 강조하고 있다. 메타, 애플, 삼성도 하반기 유사 제품 출시를 예고한 만큼 시장은 본격적인 격전 단계로 접어들었다. 시장조사기관 Wellsenn XR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 세계 AI 안경 출하량은
[더지엠뉴스]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글로벌 AI 오픈소스 기술의 혁신을 이끌며 각국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기술 혁신이 이미 전 세계 연구소와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만큼, 단순한 금지 조치로는 막을 수 없다고 분석했다. 2월 5일, 중국 증시는 춘절 연휴 이후 첫 개장일에 딥시크 관련주가 폭등했다. 매일인터랙티브, 칭윈테크놀로지, 안헝정보, 안카이마이크로, 톈위디지털, 360 등 다수의 종목이 개장 직후 상한가를 기록했다. 앞서 2월 4일, 호주 정부는 딥시크의 보안 위험을 이유로 모든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제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및 설치를 금지했다. 다만, 이 금지는 개인 기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으며, 벨기에 데이터 보호 기관은 딥시크 관련 불만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최근 2주 동안 실리콘밸리와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으며, 오픈AI의 창립자인 샘 올트먼을 포함한 여러 기업 경영진들도 딥시크의 기술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경쟁을 환영하는 한편, 미국 정부가 AI 인프라와 정책에 더 많은 투자를 해
[더지엠뉴스]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DeepSeek)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일부 국가에서 사용을 제한하는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이탈리아, 아일랜드, 호주,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딥시크의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며, 앱 다운로드 차단 및 보안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탈리아 데이터 보호국은 딥시크가 사용자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며, 1월 29일부터 애플과 구글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차단했다. 아일랜드 데이터 보호위원회 역시 딥시크의 AI 모델이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공식 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호주 국고부 장관 짐 차머스(Jim Chalmers)는 딥시크의 AI 모델을 사용할 때 신중해야 한다고 경고하며, 사용자 보호 차원에서 관련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 역시 국가 안보 위협 가능성을 이유로 딥시크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1월 28일, 미국 정부 관계자는 "딥시크의 AI 기술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필요 시 추가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각국의 감시가 강화되는 가운데, 딥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