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잭슨홀 연설 직후 폭등했던 암호화폐 시장이 하루 만에 급락세로 돌아섰다. 금리 인하 기대가 원위치되며 뉴욕증시와 주요 가상자산이 동반 충격을 받았다. 25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파월 의장이 와이오밍주 잭슨홀 미팅에서 고용 둔화 위험을 거론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9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하루 전 91.5%에서 다시 75%로 떨어졌다. 에릭 로즌그렌 전 보스턴 연은 총재는 “파월 의장이 9월 인하를 약속한 것은 아니며, 데이터가 같은 방향으로 이어질 때만 가능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시장 기대가 꺾이면서 가상화폐 가격도 흔들렸다. 이더리움은 사상 처음 4천900달러(약 677만 원)를 돌파한 직후 약세로 전환했고, 비트코인은 11만7천 달러(약 1억6,210만 원)까지 치솟았다가 고점 대비 1만 달러 가까이 밀렸다. 리플도 약세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달러 환율, 국제유가, 국채 금리, 금 가격 등 주요 지표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금융시장은 다시 한 번 ‘파월 충격’에 흔들리고 있다.
[더지엠뉴스] 미국 가상자산 리플(XRP)이 최근 급등하면서 국내 하루 거래대금이 6조 원에 달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의 24시간 기준 리플 거래대금이 39억7584만 달러(약 5조7888억 원)로 집계됐다. 이는 연초 코스닥 거래대금과 맞먹는 수준이다. 리플의 국내 거래대금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16%를 차지하며 한국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에서 리플의 거래 비중은 40%를 넘어섰으며, 빗썸, 코인원, 코빗에서도 38~48%의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리플의 가격 급등이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미국 소재 가상자산의 전망이 밝아진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자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만큼, 리플을 포함한 미국 기반 코인들이 큰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리플은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인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출범이 리플 측에 유리한 판결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