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과 뉴질랜드가 베이징 정상회담을 통해 자유무역, 기후변화 대응, 디지털경제, 문화교류 등 전방위 협력 심화를 공식화했다. 양국은 다자무역 체제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 문제에서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21일 중국 정부 발표에 따르면, 뉴질랜드 크리스토퍼 라크슨 총리는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중국을 공식 방문했다. 20일 시진핑 국가주석과 면담했으며, 리창 총리와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가졌다.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자오러지(赵乐际, Zhao Leji)와도 회동했다. 회담에서 양국 정상은 1972년 외교 관계 수립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뉴질랜드가 ‘하나의 중국’ 원칙을 확고히 준수한다고 강조했다. 11년 전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토대로 정치·경제·문화 협력을 전방위로 확장하기로 했다. 양국은 자유무역 확대, 통상 환경 개선, 녹색경제 촉진, 농업·식품안전 협력 심화, 디지털경제 플랫폼 공동 개발에 협력하고, CPTPP와 디지털경제파트너십협정(DEPA) 논의를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기후변화 대응을 포함한 녹색협력도 주요 의제로 부각됐다. 중국은 뉴질랜드와 공동으로
[더지엠뉴스] 쿼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1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중국-ASEAN 고위급 회담 관련 질문에 궈 대변인은 "제31차 중국-ASEAN 고위급 회담이 2월 12일부터 14일까지 저장성 닝보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는 중국 외교부 부부장 쑨웨이둥이 참석하며, 말레이시아 ASEAN 담당 고위 관리와 공동으로 회의를 주재한다. 그는 "이번 회담을 통해 중국-ASEAN 지도자 회의에서 합의한 사항을 이행하고, 새로운 동아시아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가 중국이 대만 인근 해역의 부표를 철거했다는 주장에 대해 궈 대변인은 "중국의 수문기상 관측 부표 설치는 국내법과 국제법에 부합하며, 부표는 이미 본래 임무를 마쳤다"며 "과학적 필요에 따라 기술적 조정이 이루어졌다"고 반박했다. 독일 뮌헨안보회의가 발표한 세계 다극화 보고서에 대한 질문에서는 "다극화는 현재 세계의 기본 추세이며 막을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은 항상 평등하고 질서 있는 다극화와 포용적인 경제 세계화를 지지한다"며 "국제 관계의 민주화를 추진하고, 유엔 헌장의 목적과 원칙을 공동으로 수호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더지엠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3일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공식 방중 중인 디콘 미첼 그레나다 총리를 만났다. 미첼 총리는 티베트 딩리에 발생한 지진에 대해 중국 정부와 국민에게 깊은 위로를 전했다. 이에 대해 시진핑 주석은 감사를 표하며, "이번 지진은 중국 남서부 고지대에서 발생했지만, 중국은 신속한 구조와 임시 대피소 설치를 완료했으며, 재건 작업도 빠르게 진행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시진핑 주석은 중-그레나다 관계가 최근 몇 년간 안정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양국 간 상호 존중과 평등한 관계를 기반으로 정치적 신뢰와 협력 성과가 크게 확대되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양국은 발전 전략을 긴밀히 접목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통해 양국 국민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주석은 중-그레나다 관계가 양국과 국민의 근본적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하며, 복교 20주년을 기념해 관계 발전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협력 청사진을 그릴 것을 제안했다. 또한, 중국은 그레나다가 자국 상황에 맞는 발전 모델을 모색하도록 지원하며, 양국 간 교류를 심화하고, 경제, 녹색 저탄소, 디지털 경제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할 뜻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