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국경절 연휴(1~8일)를 맞아 중국인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관광·유통업계가 활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공간에서는 범죄, 감염병, 사회 혼란을 연결하는 반중 정서성 괴담이 퍼지고 있다. 1일 중국 외교부와 국내 당국 설명을 종합하면 대부분 사실과 다른 과장된 주장으로 드러났다.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 이후 전자여행허가(K-ETA)와 전자입국신고 사이트 접속에 일시 문제가 생기자, 일부 보수단체는 “중국인 범죄자 3천만명이 체류지도 안 적고 들어온다”는 주장을 내놨다. 그러나 법무부는 무비자 입국 중국인 관광객은 K-ETA 대상이 아니며, ‘하이코리아’ 시스템을 통해 사전 명단·여권·체류지가 이미 등록된다고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화재와 무관하게 정상 운영됐다는 점도 덧붙였다. 또한 무비자 입국자는 여행사 단체객만 해당하며, 불법체류 전력자는 제외된다. 여행사에 대해서도 무단이탈률이 분기 평균 2% 이상일 경우 지정이 취소되는 등 강력한 관리가 뒤따른다. 기존 5% 기준보다 훨씬 강화된 조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관광객 이탈에 대한 여행사 책임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감염병
[더지엠뉴스] 가수 김종민이 KBS 예능 프로그램 ‘1박 2일’에서 하차 통보를 받았던 과거를 고백했다. 오는 4월 결혼을 앞둔 김종민은 지난 5일 방송된 MBC ‘라디오스타’에 출연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김종민은 이날 방송에서 문세윤, 박나래, 코드 쿤스트와 함께 출연해 ‘1박 2일’ 활동 중 겪었던 어려움을 털어놨다. 그는 "18년 동안 프로그램을 하며 인생 최대의 고비를 겪었다"고 말했다. 소집해제 후 예능 활동에 대한 기대가 컸던 그는 “하하랑 군복무를 하며 예능 연습도 하고 장난도 쳤다. 2년 동안 참았으니 잘할 수 있을 줄 알았다”며 “소집해제 후 첫 방송에 나갔지만 생각처럼 잘 풀리지 않았다. 어색하고, 내가 무슨 말을 해도 분위기가 싸해지는 게 끔찍했다”고 회상했다. 김종민은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거라 기대했지만,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2년이 지나도 똑같았다. 급기야 김종민 하차 국민청원까지 등장했고, 점점 수렁에 빠졌다”고 털어놨다. 하차 여부를 두고 깊은 고민에 빠졌던 그는 “하차하면 인생이 끝날 것 같았다. 그래서 자르더라도 버티자고 마음먹었다. 그러다 점점 나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알고 보니 위에서 하차시키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