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는 왕이 외교부장이 20일부터 22일까지 파키스탄을 찾아 이샤크 다르 부총리 겸 외무장관과 제6차 외교장관 전략대화를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왕 부장의 파키스탄 방문은 3년 만이다. 왕 부장은 18일부터 20일까지 인도에서 일정을 마친 직후 파키스탄으로 이동한다. 외교부에 따르면 그는 현지 지도자들과 회담하며 양국 관계 발전, 국제 문제, 지역 안보 사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중국은 국경 충돌로 냉각됐던 인도와의 관계 회복을 모색하는 한편, 전통적 동맹국인 파키스탄과 소통을 병행하며 남아시아에서 외교 균형을 꾀하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독립 이후 여러 차례 무력 충돌을 겪었으며, 올해도 카슈미르 지역 테러와 미사일 교환으로 긴장이 격화된 바 있다.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무력 충돌과 관련해 “대화를 통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국 모두 중국의 우호국이자 아세안(ASEAN)의 핵심 일원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중재 의지를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2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태국과 캄보디아는 모두 중국과 친근한 이웃이며, 역내 중요한 파트너”라며 “이견을 적절히 관리하고 우호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양국의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이익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의 긴장 고조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중국은 양측이 공동 이익과 지역 평화를 위한 바람 아래,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궈 대변인은 또 “중국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대화 촉진과 긴장 완화에 건설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국경 충돌은 두 나라가 접한 사원 인근 분쟁지역에서 발생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양측은 모두 상대방이 먼저 발포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번 충돌은 양국 간 오랜 영토 분쟁에서 비롯된 갈등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