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중국 항공사들이 글로벌 물류 허브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국제 화물 노선을 대폭 확충하고 있다. 중국동방항공은 푸둥국제공항에서 출발해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를 경유,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향하는 신규 노선을 운항하며 중동과 유럽 시장을 동시에 연결하기 시작했다. 4일 중국 민항국에 따르면, 이번 항공편은 주 3회 운항하며 약 17시간 소요된다. 중국동방항공은 이 노선을 통해 물류비 절감형 운송 솔루션을 제공하고, 중동·아프리카 항공화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상호 이익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 10월 30일에는 산둥항공이 칭다오에서 방콕을 거쳐 베트남과 필리핀으로 이어지는 동남아 화물노선을 개통했다. 이 노선은 ‘산둥 제조’ 브랜드의 글로벌 진출을 돕고, 동남아 현지 농수산품을 직접 칭다오로 공급해 지역 교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우디아라비아 물류업체 SAL물류서비스는 최근 중국화물항공과 지상취급 및 항공화물 운송 통합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국 간 항공물류 효율을 높이고, 사우디와 중국 시장 간 물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베이징사회과학원 왕펑 연구원은 “중국의 항공화물망은 산업·공급망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과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원국 간 교역과 투자가 올해 들어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교역 규모는 2,931억8,000만 달러(약 402조 원)에 달하며, 에너지·인프라를 넘어 디지털 경제와 녹색 개발로 협력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2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7월 중국과 다른 SCO 회원국 간 상품 무역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8% 증가해 2,931억8,000만 달러에 달했다. 최근 5년간 무역 규모는 3,000억 달러를 넘어 4,000억 달러, 5,000억 달러까지 확대됐으며,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7% 늘어난 5,124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자상거래 교류가 눈에 띄게 확대됐다. 지난해 SCO 회원국으로부터 중국이 들여온 국경 간 전자상거래 수입액은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현지 특산품이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중국 소비자에게 도달하면서 새로운 무역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았다. 투자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7월 기준 중국의 SCO 회원국 대상 직접투자는 누적 400억 달러(약 55조 원)를 돌파했다. 기존 에너지, 광업, 인프라 중심의 협력에 더해 디지털 경제,
[디지엠뉴스] 중국 상무부가 2026년을 1차 목표로 ‘디지털커머스’를 추진한다. 12일 중국 상무부가 내놓은 ‘2024~2026년 디지털커머스 추진계획’을 보면 이 시점까지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가 상품의 수출입 규모를 추월토록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또 디지털 소비를 촉진하고 농촌 소비를 활성화시킨다. 생방송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상품 판매도 추진한다. 디지털커머스는 PC기반의 인터넷 쇼핑,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모바일 쇼핑 외에 소셜 커머스, 최선 ICT를 통해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유통채널 및 거래 방법 등을 모두 포함하는 '상시 상거래'를 통칭한다. 전자상거래, 공급망 관리, 마케팅 관리, 물류 관리, 온라인 결제 등이 포함된다. 중상산업연구원의 '2022~2027년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 수요 예측 및 발전 동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국경 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17조9000억위안(약 3224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