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홍콩특별행정구가 국가안보법 위반 혐의로 수배 중인 인물 19명에 대해 국제사회가 제기한 비판에 정면 대응했다. 특히 미국, 캐나다, 호주가 공조해 체포 조치에 반발하자 “도주로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며 강경한 메시지를 던졌다. 28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홍콩특별행정구 정부는 전날 발표한 성명에서 “홍콩 경찰 국가안전부가 위안궁이(Yuan Gongyi), 허렁마우 빅터(He Leung Mau Victor) 등 반체제 조직 '홍콩의회' 관련 인물 19명에 대해 수배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두 홍콩 국가보안법(HKNSL)을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현재 해외에 체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경찰은 이들에 대해 '국외 도주자 추적' 체계를 가동했으며, 이는 법에 따른 정당한 절차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홍콩특별행정구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범죄자는 도피한다고 해서 처벌을 피할 수 없으며, 국가 안보를 위협한 중대한 범죄에 대해서는 반드시 법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떤 국가나 조직도 이들을 은닉하거나 다른 명분으로 면책시켜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번 대응은 특히 서방 국가를 정면으로 겨냥했다. 홍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이 해양 데이터를 노리는 외국 첩보세력의 조직적 침투를 공개하고 강도 높은 경고를 발령했다. 수중 감시장비 회수, 민간단체 위장, 센서 해킹 등 정찰행위 전반을 국가안보 위협으로 규정했다. 23일 중국 국가안전부(国家安全部, Guojia Anquanbu)는 공식 위챗(微信, Weixin)을 통해 “최근 외국 정보기관이 중국 해양데이터에 대한 침투를 가속화하고 있다”며 “해저지형, 수문자료, 원격탐사 정보를 목표로 연안지역 감시 활동을 확대 중”이라고 밝혔다. 국가안전부에 따르면, 일부 외국 민간단체는 공공연구 명목으로 중국 해안선 전역에 해양 관측소를 조밀하게 설치하고, 수년간 전략 해역을 정밀 감시해 왔다. 이들은 정부 협력기구를 가장해 수온, 염분, 해류, 해빙, 해저 지형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해당 정보는 군사시설 배치와 해안방어 계획에 직접 연결되는 고위험 자료다. 또 다른 사례로는 조업 중이던 중국 어선이 회수한 정찰장비가 소개됐다. 이 장비는 외국이 새롭게 개발한 수중 감시장치로, 자동으로 해양 기상정보와 선박 이동정보를 수집하도록 설계돼 있었다. 장비 외형은 일반 수중 센서와 유사했지만 내부에 고성능 데이터 전송 기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이 '대만독립' 분열 행위를 법적으로 강력히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실제로 집행한 사례를 공개했다. 국가안전부는 이 같은 조치가 국가 주권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는 강력한 법적 수단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28일 중국 국가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21일 발표된 ‘대만독립 고수 분자 처벌에 관한 사법 지침’은 지난 1년간 복수의 사건에 적용됐다. 첫 적용 사례는 저장(浙江, Zhejiang)성 원저우시 중급인민법원이 선고한 양즈위안(杨智渊) 사건이다. 양은 분열죄로 징역 9년과 정치권리 박탈 3년형을 선고받았다. 이어 올해 2월 상하이시 제1중급인민법원은 타이완 출판사 ‘구사서방(八旗文化)’ 편집장 리옌허(李延贺)에게 선동분열죄로 징역 3년형과 정치권리 박탈 1년, 개인 재산 5만 위안(약 970만원) 몰수를 선고했다. 국가안전부는 위챗 공식 채널을 통해 “사법 지침이 '대만독립' 극단세력에 대해 실제적인 억제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당국은 대만의 사이버전 부대 소속 인물들을 실명 공개하고, 이들이 중국 본토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정보 절취, 침투 활동을 벌였다고 지목했다. 중국 측은 이러한 시도가 법 집행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