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리창(李强) 총리가 내수 확대와 산업 생태 혁신을 국가 경제의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거시정책의 지속적 발력을 주문했다. 그는 장기적 시야에서 중국 경제의 구조적 회복을 강조하며, 고품질 성장을 향한 정책 방향을 명확히 했다. 15일 중국 국무원에 따르면, 리창 총리는 전날 베이징에서 ‘경제형세 전문가·기업가 좌담회’를 주재하고, 경기 흐름과 향후 경제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쉬치위안, 천빈카이, 양허 등 경제 전문가와 기업인들이 참석해 내수 진작, 산업 고도화, 자본시장 안정 등 다양한 제언을 내놨다. 리창은 “중국 경제는 복잡한 외부 환경 속에서도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구 이동과 물류, 정보 흐름, 자금 유통이 모두 정상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중국 경제의 구조적 기반은 흔들리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역주기 조정을 강화하고 총량정책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겠다”며 “개혁적 수단을 통해 병목을 해소하고, 정책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발전 동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를 촉진하고 유효투자를 늘리며 내수의 새 성장점을 형성해야 한다”며 “시장 활력을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은 새로운 성장 국면에 맞춰 도시 발전 전략을 대대적으로 전환한다. 전날 공개된 ‘도시 고품질 발전 의견’은 2030년까지 제도 기반을 정비하고, 2035년에는 현대적 인민도시를 기본적으로 완성한다는 목표를 담았다. 30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번 문건은 중앙도시공작회의 후속 실행지침으로, ‘혁신·주거·녹색·안전·문화·스마트’ 도시 건설 방향을 구체화했다. 중국 도시화율은 2012년 53.1%에서 2024년 67%로 상승했지만, 급격한 팽창기에서 질적 제고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진단이다. 중국 도시계획학회 양바오쥔(杨保军, Yang Baojun) 회장은 “개별 도시의 조건과 자원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도시 발전의 내적 논리가 크게 바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의견은 우선 도시군 통합과 권역별 협력으로 도시 체계를 최적화한다. 초대형 도시 경쟁력을 높이고, 중소도시와 현급 도시의 인구·산업 수용 능력을 강화한다. 또한 도시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건설·운영 투융자 체계를 마련해 신성장 동력을 키운다.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좋은 집’과 완결형 커뮤니티 건설을 추진하고, 기반시설과 공공서비스 수준을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