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푸바오의 하루는 평온하고 밝습니다. 한국 친구들, 걱정하지 마세요.” 8일 주한중국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戴兵, Dai Bing) 유엔주재 중국 부대사가 전날 내놓은 메시지는 단순한 입장 표명을 넘어, 진심 어린 위로이자 초대장이었다. 최근 한국 내에서 제기된 푸바오 상태에 대한 우려와 추측을 의식한 듯, 그는 중국 대熊猫보호연구센터에서 직접 보내온 푸바오의 영상을 공개하며 이렇게 말했다. “푸바오는 활기차고 식욕도 좋습니다. 여러분의 사랑을 그대로 간직하며 잘 지내고 있습니다.” 그는 이어 “일부에서 푸바오에 대해 오해가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중국은 지금도 1,900마리 이상의 야생 판다를 품고 있으며, 자연과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돌보고 있습니다”고 밝혔다. 푸바오 역시 그 같은 원칙 속에서, 자연을 배우고 생존을 익히는 훈련을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다이빙 대사는 “판다는 중국의 국보이며, 그 누구보다도 중국인들이 판다를 아낍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지금 한국 국민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한국 분들이 푸바오를 직접 만나러 와주셨으면 합니다. 그 발걸음이
[더지엠뉴스] 중국이 샌디에이고·샌프란시스코에 이어 연내 워싱턴DC 동물원에 판다 한 쌍을 추가로 보내기로 했다. 올해 2월 미국을 상대로 재개한 ‘판단 외교’ 확대로 해석된다. 30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야생동물보호협회는 전날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근 미국 워싱턴DC 국립동물원과 새로운 판다 국제 보호·연구 협력 양해각서에 서명했다”며 “중국판다보호연구센터의 판다 ‘바오리’와 ‘칭바오’ 한 쌍이 올해 말 미국으로 갈 것”이라고 공개했다. 협회는 워싱턴DC 국립동물원과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자이언트 판다 보호·연구 협력을 했고 지금까지 판다 네 마리를 성공적으로 번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중미 판다 국제 보호 협력이 기존의 좋은 협력 기초 위에서 판다 중병 치료와 방역, 과학 교류, 야생 보호, 판다 공원 건설 등 방면에서 더 많은 성과를 거두고 세계 생물 다양성 보호와 양국 인민의 우의 증진에 새로운 공헌을 할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중국이 미중 관계 정상화에 앞서 1972년 워싱턴DC 국립 동물원에 판다 한 쌍을 보낸 것을 시작으로 판다는 반세기 넘게 미중 데탕트(긴장 완화)의 상징으로 인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