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한국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중국 산둥성이 오는 2027년까지 전 사회의 연구 개발 자금 투입 강도를 약 2.8%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 산업체인의 고품질을 추진하겠다는 방안이다. 산둥성의 ‘과학기술 혁신 산업체인 고품질 발전 유도 방안(2024—2027년)’에 따르면 상징적인 산업체인을 중심으로 중대한 혁신 성과 약 200건을 창출하며, 국가 및 성(省)의 첨단 인재 2400명을 신규 유입시킨다. 또 성 전체 첨단기술 기업을 5만 개로, 그 중 상징적인 산업체인 영역의 비중을 80%까지 확대한다. 규모이상 첨단기술 산업 부가가치의 경우 비중의 약 55%까지 늘리고, 상징적 산업 체인 역량을 대대적으로 강화시켜 성(省)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엔진으로 발전시킨다는 내용도 담았다. ■산업체인 과학기술 개발 전략 분야 방안은 집적회로 등 11개의 전략분야에 중점을 두고, 과학기술 개발 전략 29개 분야를 발전시켜 경쟁력이 강한 현대화된 산업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못 박았다. 이를 위해 우선 핵심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산업의 자율 통제 능력을 향상시킨다. 기업이 자연과학연합기금을 설립하도록 지원하고, ‘상징적
[더지엠뉴스] 중국이 ‘미래산업 혁신발전 추진에 관한 실시 의견’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산업기반 마련에 집중해 국가 미래산업 발전 모델을 초보적으로 형성하고, 2027년에는 핵심 미래 기술을 산업에 보편적으로 응용하며 중점산업을 규모화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론 △100개의 미래산업 인큐베이터와 선도구 건설 △100개의 첨단 핵심기술 돌파 △대표 제품 형성 △선도기업 육성 △응용 시나리오 창출 △핵심 표준 제정 △전문 서비스 기관 육성 △미래산업의 종합적인 역량 향상 △일부 분야 글로벌 리더십 실현 등이 목표다. 중국은 이를 위해 미래산업을 전면적으로 배치하고, 기술 혁신 및 산업화 가속한다. 또 대표적 제품을 개발하고 산업 주체를 육성한다. 응용 시나리오 확대도 산업 발전 추진 방향으로 잡았다. 미래산업의 전면적 배치는 △미래 제조 △미래정보 △미래 소재 △미래에너지 △미래 공간 △미래 건강 등 6가지 전략을 담았다. 기술 혁신 및 산업화 가속화는 국가 중점 과학기술 프로젝트와 중대 과학기술 연구 프로젝트를 미래 중점산업 방향으로 추진한다. 아울러 성과 발표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하고 최초의 주요 기술 장비 등에 대한 인센티브 정책을 마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