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세계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영향력이 가장 큰 과학자 100명 가운데 절반이 중국 국적이거나 중국에서 활동하는 연구자로 확인됐다. 9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4년 사이에 발표된 주요 학술 논문 약 9만6천 편과 20만 명의 연구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계 ‘톱100 AI 과학자’ 명단이 추려졌으며, 이 중 50명이 중국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명단은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산하 중국투자진흥사무소(ITPO 차이나)와 선전(深圳, Shenzhen) 소재 기술기업 둥비(Dongbei)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서 발표됐다. 특히 미국 내 상위 AI 과학자 20명 중 절반도 중국계로 분류됐다. 국가를 막론하고 세계 AI 연구의 중심에서 중국계 인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인 셈이다. 명단은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 AI 콘퍼런스에서 공개됐으며, 개별 순위는 별도로 발표되지 않았다. 중국계 인재의 글로벌 활동은 미국 주요 대학과 빅테크 기업으로 이어지고 있다. 컴퓨터비전 분야에서 선구자로 평가받는 허카이밍(Haikang He) 매사추세츠공대(MIT) 조교수
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에서 빠르게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2일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Aramco)는 최근 주요 데이터센터에 딥시크의 대형 언어모델을 구축했으며, 영국계 은행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도 내부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국 기업이 주도해온 AI 시장에서, 중국 기업이 실용성과 비용 경쟁력으로 발판을 넓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딥시크는 지난 2월 자체 개발한 R1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복잡한 상업 라이선스 없이 누구나 수정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자들과 학계의 호응을 얻고 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같은 미국 클라우드 업체도 고객 요청에 따라 딥시크 모델을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챗GPT 다운로드 수는 9억1천만 회에 달하며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지만, 딥시크는 1억2천500만 회를 넘기며 비약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업계에서는 딥시크의 부상 배경으로 세 가지를 꼽는다. 첫째, 비용 측면에서 미국의 초거대 모델 대비 경제적이며, 둘째, 오픈소스 전략으로 활용
[더지엠뉴스]중국의 IT 제조업체 샤오미(小米, Xiaomi)가 인공지능 산업에서 존재감을 강화하고 있다. 30일 샤오미는 첫 오픈소스 기반 AI 추론모델 ‘미모(MiMo)’를 공개하며 AI 기술 주도권 확보 경쟁에 공식적으로 참전했다. 중국 계면신문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샤오미는 이번에 공개한 미모가 현재 시장에 공개된 다양한 오픈소스 AI 중에서도 성능이 우수하다고 밝혔다. 특히 오픈AI의 o1-미니,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의 큐원(Qwen) 등을 벤치마크 대상으로 삼아, 자사 모델이 이들을 앞질렀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해당 모델은 추론 성능과 응답 정확도 등 여러 지표에서 우위를 보였으며, 알고리즘 최적화와 경량화 구조로 모바일 디바이스 적용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고 한다. 샤오미는 이날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2025년이라는 시점이 늦어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는 범용 인공지능(AGI)이 장기전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최근 AI 시장에 집중된 기술 경쟁 흐름과 맞물려 이뤄졌다. 같은 주 알리바바는 큐원 3(Qwen 3)를 새로 선보였으며,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xAI도 다음 주 ‘그록(Grok
[더지엠뉴스] 일론 머스크(Elon Musk)가 오는 20일(한국시간) 인공지능(AI) 모델 ‘그록 3(Grok 3)’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지구에서 가장 똑똑한 AI"라고 칭하며, 기술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머스크는 16일 X(구 트위터)를 통해 "그록 3 대형 모델을 공개하며 실시간 데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주말 동안 제품 개선 작업에 집중하느라 오프라인 상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그록 3는 우리가 지금까지 본 AI 모델 중 최고의 추론 능력을 갖췄다"며, "현재 출시된 어떤 AI보다 뛰어난 성능을 자랑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픈AI(Open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알트만(Sam Altman) 역시 같은 날 GPT-4o 업데이트 계획을 발표하며 AI 시장에서의 경쟁을 한층 더 가열시켰다. 머스크가 운영하는 AI 기업 엑스AI(xAI)는 100억 달러(약 13조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추진 중이다. 이번 투자에는 레드우드 벤처스, 안드레센 호로위츠, 발로르 에쿼티 파트너스 등 주요 벤처캐피털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엑스AI의 기업 가치는 약 750억 달러로 평가되며, 이는 지난해
[더지엠뉴스] 중국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글로벌 AI 오픈소스 기술의 혁신을 이끌며 각국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기술 혁신이 이미 전 세계 연구소와 개발자들에게 중요한 만큼, 단순한 금지 조치로는 막을 수 없다고 분석했다. 2월 5일, 중국 증시는 춘절 연휴 이후 첫 개장일에 딥시크 관련주가 폭등했다. 매일인터랙티브, 칭윈테크놀로지, 안헝정보, 안카이마이크로, 톈위디지털, 360 등 다수의 종목이 개장 직후 상한가를 기록했다. 앞서 2월 4일, 호주 정부는 딥시크의 보안 위험을 이유로 모든 정부 기기에서 딥시크 제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 및 설치를 금지했다. 다만, 이 금지는 개인 기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도 유사한 조치를 취했으며, 벨기에 데이터 보호 기관은 딥시크 관련 불만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딥시크의 AI 모델은 최근 2주 동안 실리콘밸리와 투자자들을 놀라게 했으며, 오픈AI의 창립자인 샘 올트먼을 포함한 여러 기업 경영진들도 딥시크의 기술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경쟁을 환영하는 한편, 미국 정부가 AI 인프라와 정책에 더 많은 투자를 해
[더지엠뉴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보험산업의 고품절 발전을 촉구했다. 중국 정부는 ‘위기의’ 부동산을 살리기 위해 모기지 대출 지원 강화책을 또 내놨다. 엔비디아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 AI 합류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법 채택 리창(Li Qiang) 중국 총리는 국무원 상무회의를 주재하여 보험 산업의 고품질 발전 촉진에 대한 여러 의견을 연구하고, 대형 식품 개념과 관련된 작업을 전개 및 실행하는 내용의 ‘실시 계획’을 채택했다. 회의에선 ‘하이허 유역의 홍수 조절 시스템 개선 가속화' 및 '네트워크 데이터 보안', '중화인민공화국 해사법(개정 초안)' 등이 포함됐다. ■부동산 살리기, 모기지 대출 이자율 추가 인하 중국 당국은 기존 모기지 대출의 이자율을 추가로 낮추기로 했다. 또 최대 38조 위안 규모의 기존 모기지 대출을 허용해 주민의 부채 부담을 줄인다는 방침이다. 부동산 부양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중국 매체는 아직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았다고 전제했다. ■인민은행 단기국채 매입, 장기국채 매각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8월에 공개시장 국채 매매 운영을 시작해 일부 공개시장 비즈니스 1급 거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