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연 기자 | 중국이 입국 절차를 대폭 완화한 이후 외국인 관광객이 빠르게 돌아오고 있다. 특히 무비자 입국자 수가 급증하면서 주요 도시들의 관광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중국 상하이 출입국 당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상하이를 방문한 외국인은 총 260만 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4.8% 증가했다. 이 가운데 무비자 입국자는 140만 명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외국인 방문자 수는 베이징에서도 큰 폭으로 늘었다. 상반기 무비자 입국자는 총 84만 명으로,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과반을 차지하며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났다. 쓰촨성 청두에선 120% 증가, 하이난에서는 48% 증가하는 등 전국적으로 유사한 흐름이 확인됐다. 눈에 띄는 건 한국인 관광객의 급증이다. 상하이시 문화관광국에 따르면 올해 1~5월 상하이를 찾은 외국인 254만 명 중 한국인은 35만6천 명으로 전년 대비 138% 증가했다. 태국인과 일본인도 각각 157%, 60% 증가해 주요 아시아권 관광객이 대거 복귀한 모습이다. 이러한 외국인 유입 확대는 중국 정부의 무비자 정책 확대와 맞물려 있다. 2023년 말부터 중국은 한국, 일본, 유럽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징둥(京东, JD.com)이 본격적으로 호텔·여행(酒旅) 시장에 진입하며 알리바바(阿里巴巴, Alibaba), 메이퇀(美团, Meituan)과의 플랫폼 경쟁이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19일 중국매체에 따르면 징둥은 전날 ‘전국 호텔 사업자 공개서한’을 발표하고 호텔·여행업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최근 여행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소비자 요구가 다양화되는 가운데, 징둥은 공급망 강점을 살려 호텔 산업 비용을 절감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징둥은 ‘호텔 플러스 회원제’ 참여 사업자에게 최대 3년간 수수료 0% 혜택을 제공한다. 현재 8억 명 이상의 고소비층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국 3만 개 대형 기업과 800만 개 중소기업 고객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징둥 창업자 류창둥(刘强东, Liu Qiangdong)은 17일 열린 전략 설명회에서 “공급망 역량을 활용해 호텔·외식업 비용을 기존 대비 3분의 2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징둥의 호텔·여행 시장 진출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2011년 항공권 예약 서비스를 시작했고, 2014년 ‘징둥 여행’ 채널을 개설했다. 이후 투니우(途牛,
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인 징둥(京东, JD.com)이 본격적으로 여행·호텔 예약(酒旅) 사업에 뛰어들었다. 외식 배달 서비스를 통해 확보한 로컬 유저 기반을 활용해, 이번엔 미주·기차·호텔을 포함한 OTA(온라인 여행사) 시장까지 사업 반경을 넓힌 것이다. 9일 중국 경제매체 펑파이(澎湃)에 따르면, 징둥은 현재 제품 매니저, 항공 운영, 시스템 설계 전문가 등 핵심 직군을 대상으로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미투안(美团), 씨트립(携程) 등 경쟁사의 경력 인력을 대상으로 3배 수준의 고액 연봉을 제시하면서 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포지션의 경우 월급이 5만1570만 원)에 달한다. 징둥은 현재 자사 앱 내 ‘생활 여행 서비스’ 항목을 조용히 오픈한 상태다. 해당 섹션에서는 호텔, 항공권, 기차표, 관광지 입장권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베이징 타이쿠리 호텔의 경우 정가 370위안(약 8만3000원)에서 66위안(약 1만5000원) 공식 보조금이 제공돼 예약 시 큰 할인이 적용된다. 또 호텔 예약 시 외식 쿠폰을 추가로 제공하는 연계 혜택도 마련됐다. 징둥은 이미 2011년 항공권 예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