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국가안보부는 외국 정보기관들이 중국 내 불법 세력과 결탁해 희토류를 밀반출하려 한 정황을 다수 포착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일부 국가들은 희귀 금속을 자체 정제·생산할 능력이 없어, 다양한 경로를 동원해 이를 비축해 왔다고 한다. 최근에는 특정 국가의 핵심 산업 계약업체가 중국산 희토류를 다른 원산지로 위장해 재수출하거나, 희토류 수출통제 품목을 다품종 소량 배송, 내용물 허위신고, 품명 위조, 경로 변경 등 방식으로 몰래 빼내려 시도한 사실이 확인됐다. 국가안보부는 이런 정황에 대해 “희토류 자원의 보안과 국가안전을 침해하는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정하고, 관계 부처와 협조해 불법 출하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희토류 보유국이자 생산·소비·수출 강국으로, 희토류는 ‘산업의 금’, ‘신소재의 어머니’로 불린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는 중국의 희토류 공급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첩보활동까지 감행하고 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첩보조직들은 중국 내 범죄자들을 포섭해 희토류를 은닉 출하하는 방식으로 반출을 시도해왔다. 고순도 디스프로슘, 터븀과 같은 희귀 희토류를 페로합금, 니켈분말 등 일반 저가 상품
[thegmnews] 미국이 주장하는 이른바 ‘볼트 타이푼(Volt Typhoon)’ 사이버 위협 의혹은 미국의 여론 조작 캠페인이라고 중국이 반박했다. 9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미국 주도의 정부 동맹 '파이브 아이즈'는 '볼트 타이푼'이라는 이름의 해킹 조직이 미국의 주요 인프라를 겨냥한 스파이 활동을 시작했으며 해당 조직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추적 분석에 나선 중국 국가컴퓨터바이러스응급처리센터와 기타 기술팀은 지난 4월 조사 보고서 내고 “'볼트 타이푼'과 관련한 내용은 미국 정보기관이 조작한 전형적인 허위 정보로 반중 성향의 미국 정치인과 '파이브 아이즈' 동맹국 사이버 보안 당국의 합작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 계획은 지난해 초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된 것“이라며 ”특히 외부 표적을 공격하고 경쟁자에 대한 억제력과 국민에 대한 감시·통제력을 강화함으로써 미국 정보기관의 네트워크 침투 능력을 더욱 통합 및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반박했다. 중국 측에 따르면 이 계획은 FISA(미국 정보기관들이 영장 없는 감시를 허용하는 미국 해외정보감시법) 702조의 재승인을 추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