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정부가 오는 9월 3일 열리는 제80주년 전승절 열병식에 한국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홍콩 언론은 이 대통령의 불참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제기했다. 2일 성도일보(星岛日报)는 '중국관찰' 칼럼을 통해 2015년 박근혜 당시 대통령이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행사에 참석한 것과는 다른 분위기를 짚으며, 올해는 이 대통령이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10년 전 행사 당시 러시아, 베트남, 남아공 등 비서방 국가 정상들과 함께 박 대통령이 유일한 미국 동맹국 정상으로 참석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당시 한중 관계는 우호적이었고, 한일 관계는 냉랭했으며, 박 대통령은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참석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현재 한중 관계는 과거의 밀월기와 거리가 있다"며 "이 대통령이 베이징을 방문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또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참석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내다봤다. 일본 교도통신이 중국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초청했다고 보도했지만, 성도일보는 "중미 관계 악화와 미일 동맹을 고려할 때 참석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도했다. 성도일보는 "2015년
[더지엠뉴스]중국 외교부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한국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해 한국의 정치·사회적 안정을 희망한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린젠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이번 결정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내부 사무"라며 "한국이 질서 있는 정치 일정을 추진하여 정국과 사회 안정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린 대변인은 중국과 한국이 떼어낼 수 없는 협력 동반자 관계라고 강조하면서, 중국의 대(對)한국 정책이 연속성, 안정성, 확실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양국이 수교의 초심을 지키고 선린 우호 방향을 견지하여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지속 발전시키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작년 12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와 이후 탄핵 정국에 대해서는 공식 논평을 자제해왔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중국인 연루 간첩 사건'을 언급했을 때는 강력히 반발하며 한국 정부의 발언에 깊은 놀라움과 불만을 표시한 바 있다. 이번 린 대변인의 발언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당시 사드 배치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던 입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신중하고 건조한 태도로 평가된다. 중국은 한중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협력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