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미국 대형은행 웰스파고(Wells Fargo)의 고위 임원이 중국에서 형사 사건에 연루돼 현재 출국이 제한된 상태라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21일 궈자쿤(郭家坤, Guo Jiakun)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웰스파고 테크놀로지 총괄 부사장인 마오천웨(Mao Chenwei)가 최근 몇 주간 중국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한 질문에 “해당 인물이 진행 중인 형사 사건과 관련돼 있으며, 중국 법에 따라 출국이 제한되고 있다”고 공식 확인했다. 궈 대변인은 “사건은 현재 수사 중이며, 마오천웨 씨는 법에 따라 조사에 협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내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국적을 불문하고 중국 법률을 따라야 하며, 법 집행 과정에서 관련 인물의 정당한 권익은 반드시 보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는 미국과 중국 간 긴장감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지만, 궈 대변인은 “해당 사건은 개별 사법 사안”이라며 정치적 맥락과의 연관성은 일축했다. 그는 “중국은 항상 외국인의 중국 내 합법적 활동을 환영하고, 법에 따라 그들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더지엠뉴스] 미국 시티그룹이 고객 계좌에 81조 달러(한화 약 11경 8503조 원)를 잘못 송금했다가 이를 취소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이 어처구니없는 실수는 지난해 4월 발생한 것으로, 280달러(약 41만 원)를 송금하려던 직원이 잘못 입력하면서 시작됐다. 더욱 놀라운 점은 이 초대형 오류가 은행의 내부 검토 과정을 거쳤음에도 승인됐다는 점이다. 시티그룹은 송금 90분 만에 거액이 빠져나간 사실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오류를 정정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가 공개한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만 해도 10억 달러(약 1조 4640억 원) 이상 손실을 초래할 뻔한 송금 사고가 10건이나 있었다. 시티그룹은 2020년에도 9억 달러(약 1조 3168억 원)를 화장품 회사 레블론 채권단에 잘못 송금하는 바람에 당시 최고경영자(CEO)가 해임되고 막대한 벌금을 지불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 은행에서 반복되는 이 같은 실수가 금융 시스템의 허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한다. 특히 자동화된 금융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상하기 어려운 규모의 자금이 한순간에 움직일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시티그룹 측은 “내부 통제 시스템이 오류를 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