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 외교부가 미국과 영국의 최근 행보를 강하게 비판하며, 니제르와 위네수엘라 등과의 협력은 주권국 간의 자주적 결정이라고 밝혔다. 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마오닝(毛宁, Mao Ning)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니제르 내 기독교 위협”을 이유로 ‘특별관심국’ 명단에 추가하고 군사행동 가능성까지 언급한 데 대해 “종교나 인권을 구실로 한 내정 간섭은 용납될 수 없다”고 밝혔다. 마오 대변인은 “중국은 니제르 정부가 자국 상황에 맞는 발전의 길을 걷는 것을 지지하며, 제3국이 제재나 무력 위협으로 간섭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영국 언론이 “중국 압박으로 인권 관련 연구가 중단됐다”고 보도한 데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며, 해당 인물은 반중 허위정보 유통망의 일부”라고 반박했다. 그는 “소위 ‘학문 자유’ 명분 아래 허위 선전을 퍼뜨리고 특정 세력의 정치적 목적에 봉사하는 것은 결코 연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또 위네수엘라가 중국, 러시아, 이란으로부터 군사 장비를 도입하려 한다는 서방 보도에 대해서도 “중국과 위네수엘라의 협력은 양국 간의 정상적 교류이며 제3국을 겨냥하거나 간섭받지 않는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의 왕이(王毅, Wang Yi)와 조선의 최선희(崔善姬, Cui Shanji)가 베이징(北京, Beijing)에서 마주 앉아 양국 협력의 매듭을 구체화하는 협의를 진행했다. 대면 회담은 상층 간 역사적 회동 이후 첫 공식 장관급 접촉으로 기록되며, 정치·외교·안보 연계 운용을 전제로 한 단계 높은 공조 프레임을 확인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양측은 최고지도부 합의의 실행력을 중심축으로 삼아 전략 소통의 상시화, 현안별 직결 협의 채널 확충, 실무 협력 트랙의 병렬 가동을 합의했다. 양측은 사회주의 현대화 건설과 민생 증진을 공통 과제로 놓고는 국정 운영 경험을 공유하고, 경제 및 인적 교류 접점을 넓히는 실무 프로그램을 병치하기로 했다. 국제·지역 의제의 경우, 인류운명공동체 구상과 글로벌 발전·안보·문명·거버넌스 이니셔티브를 기준축으로 세우고는 다자 무대에서의 공동 발언과 상호 지지의 범위를 정밀화했다. 중국 측은 상대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에 대한 일관된 지지에 사의를 표하고, 관련 이슈에서의 외부 압박과 일방주의에 공동 대응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조선 측은 중국의 항일전쟁 승전 80주년 기념 활동과 국가적 역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