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팡쿤(方坤, Fang Kun) 주한 중국대사관 공사는 지난 4일 대전에서 열린 제5회 마스(MARS) 월드포럼에 참석해 ‘AI 시대의 중국과 중한 협력의 질적 발전’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이번 행사는 대전광역시와 한컴인스페이스가 공동 주최했으며, 정치·과학기술·산업·교육계 인사 300여 명이 모였다. 11일 주한중국대사관에 따르면 팡쿤 공사는 중국이 과학기술과 교육을 통한 국가 진흥 전략에 힘입어 세계 선두권에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AI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과학기술 혁명에서 중국이 제도·인재·시장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주 혁신 성과를 연이어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학기술 협력이 중한 관계의 중요한 축이라며, 양국이 손을 맞잡아 신흥 기술 발전과 혁신 성과 공유를 통해 양국 국민과 세계에 더 큰 혜택을 주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대전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위치한 대표적 과학도시로, MARS는 모빌리티(Mobility), 인공지능(AI), 로봇(Robotics), 우주(Space)를 뜻한다. 대전시와 한컴인스페이스는 2021년부터 이 포럼을 열어왔으며, 올해로 다섯 번째를 맞았다.
[더지엠뉴스] 인류 최초로 달 뒷면 샘플 채취를 목표로 발사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2일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다. 2일 관영 중국중앙TV(CCTV)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항천국(국가우주국)은 창어 6호가 이날 아침 달 뒷면의 ‘남극-에이킨 분지’에 착륙했다고 밝혔다. 달의 여신인 ‘항아’를 뜻하는 창어 6호는 세계 최초로 달 뒷면 토양·암석 등 샘플 채취를 목표로 지난달 3일 발사됐다. 궤도선·착륙선·상승선·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창어 6호는 지구에선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남극-에이킨 분지'에 착륙해 토양과 암석 등 총 2㎏에 달하는 시료를 채취해 이달 25일께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그간 달 표면 샘플 채취는 세계적으로 모두 10차례 이뤄졌지만, 모두 달 앞면에서 진행된 만큼 창어 6호가 달 뒷면 샘플 채취에 성공할 경우 인류 최초의 탐사 성과가 된다. ‘창어’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으로, 2004년 시작된 중국 달 탐사 프로젝트의 명칭이기도 하다. 중국의 이번 성공은 미국과 중국의 우주 진출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이뤄진 성과다. 미국, 러시아 등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2010년대 이후 달 탐사 분야에서는
[더지엠뉴스] 중국 국가우주국(CASA)은 오는 24~25일 양일간 후베이성 우한에서 ‘제1회 중국-중남미·카리브해 우주협력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CNSA와 외교부, 후베이성 정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틀간의 포럼은 중국의 우주의 날인 4월 24일에 개막한다. CNSA 관계자는 “기관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회식, 메인 포럼, 4개의 심포지엄을 열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포럼의 초점은 우주 협력이 사회 경제적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맞춰진다. 심포지엄은 심우주 탐험, 우주 과학 및 우주 산업 체인 내의 혁신 주도 성장 촉진 등을 다루게 된다. 포럼에는 8개 국제기구와 중남미·카리브해 26개국의 대표 1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CNSA 관계자는 “이번 행사가 중국과 이들 지역 간 우주 협력을 증진하고,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항공우주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며 “아울러 중국과 참가국 간 우호를 심화하고, 중국과 이 지역의 공동 미래를 구축하는 데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중국 우주의 날은 1970년 4월 24일 중국의 첫 번째 위성인 동방홍(东方红) 1호가 장거리 로켓에 실려 발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됐다. 중국은 이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