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구태경 기자 | 중국의 상반기 서비스 무역이 전년보다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며 총규모 3조 8천억 위안을 넘어섰다. 특히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수출 확대와 해외여행 수요 급증이 전체 흐름을 밀어올렸다. 4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국의 서비스 수출입 총액은 3조 8,872억 6천만 위안(약 7,670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수치다. 수출은 1조 6,883억 위안(약 3,333조 원)으로 15.0% 증가했고, 수입은 2조 1,989억 6천만 위안(약 4,337조 원)으로 3.2% 상승했다. 전체 무역수지는 5,106억 6천만 위안(약 1,007조 원) 적자였지만, 전년보다 1,522억 1천만 위안(약 300조 원) 감소했다. 지식집약 서비스 분야는 안정적인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이 부문의 수출입 총액은 1조 5,025억 4천만 위안(약 2,964조 원)으로 6.0% 늘었으며, 세부적으로 기타 상업 서비스는 6,391억 위안(약 1,259조 원), 통신·컴퓨터·정보 서비스는 5,293억 8천만 위안(약 1,044조 원)을 기록했다. 두 항목의 증가율은 각각 3.1%, 12.7%였다. 수출은 8,65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로 상향 조정했다. 올해 상반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돈 데다, 미중 간 관세 인하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30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IMF는 ‘세계경제전망’(WEO) 수정 보고서를 통해 2025년 중국 성장률을 4.8%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4월 전망치보다 0.8%포인트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2025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고, 미중 간 관세가 큰 폭으로 인하된 것이 직접적 상승 요인”이라고 밝혔다. 특히 1분기 실적만으로도 연간 성장률이 기계적으로 0.6%포인트 상향되는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IMF는 수출 호조가 성장률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위안화가 달러에 연동돼 절하된 영향으로 미국을 제외한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정부의 재정 정책 덕분에 소비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2026년 중국의 성장률도 0.2%포인트 오른 4.2%로 조정됐다. 같은 보고서에서 IMF는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0%, 2026년은 3.1%로 전망했다. 이는 4월 전망 대비 각각 0.2, 0.1%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IMF는 이러한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