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미국 부부 사이에 ‘같이 자지 않는 문화’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코골이부터 수면장애, 갱년기 증상까지, 함께 자는 게 더 이상 사랑의 증거가 아니게 됐다. 14일 미국수면의학아카데미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35%가 배우자와 자주 또는 항상 각방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은 여전하지만, 잠만큼은 따로 자는 게 오히려 부부관계를 지키는 길이 됐다는 설명이다. 결혼한 지 20년 된 한 부부는 “남편이 자면서 다리를 마구 흔들고, 코를 심하게 골아 아내가 밤마다 몇 번씩 깨야 했다”고 털어놨다. 결국 두 사람은 2017년부터 침실을 따로 썼고, 이후 부부 관계는 오히려 더 단단해졌다고 한다. 또 다른 부부는 갱년기 증상으로 밤마다 이불을 걷어차는 통에 서로 잠에서 깼다고 전했다. 이들은 “지금은 어떤 날은 함께, 어떤 날은 따로 잔다”며 “잠을 잘 자야 서로에게 더 친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면 전문가들도 이에 동의한다. 한 전문가는 “함께 자는 것이 애정의 척도라는 생각은 비교적 최근의 문화일 뿐”이라며 “수면의 질과 서로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각방은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호주 모나시대학 수면과학자
[더지엠뉴스]우리가 무심코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이 수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13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노르웨이 과학기술연구소 연구진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내용을 인용해,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이 인간의 수면과 각성 주기를 최대 17분까지 지연시킨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의료용 튜브와 수분 공급 파우치 등에 사용되는 폴리염화비닐(PVC)과 폴리우레탄(PU) 성분을 추출해 인간 세포에 적용했다. 이들 성분은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해 정상적인 각성 신호 전달을 방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데노신 수용체는 몸에 ‘아침이 왔다’는 신호를 전달하지만, 플라스틱 속 화학물질은 이를 활성화시켜 오히려 신호 전달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수면-각성 사이클이 흐트러지고, 이는 수면장애는 물론 당뇨병과 면역 이상 같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 메커니즘은 커피 속 카페인이 아데노신 작용을 막아 몸을 깨우는 방식과 유사하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이 카페인보다 약하지만, 세포에는 더 빠르게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마틴 바그너 박사는 “이번 실험은 플라스틱에 포함된 화학물질이 단순한 환경오염을 넘어 인체 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