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미중 통상 협상을 앞두고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합의는 수용 불가”라고 못 박았다. 스웨덴 실무회담을 앞두고, ‘평등·존중·상호이익’이 협상의 절대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2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협상 구체 일정은 추후 공개되겠지만, 우리의 원칙은 분명하다"고 전했다. 그는 “중미 양국 정상 간의 최근 통화에서 중요한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그 합의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고, 정상 간 신뢰를 무역 협상으로 연결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항상 WTO 규범을 존중하며, 어떤 경우에도 중국의 정당한 이익을 희생하는 형태의 거래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경계했다. 유럽연합이 최근 미국과 체결한 이른바 ‘차선의 무역합의’가 언급되자, 중국도 비슷한 시나리오를 수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궈 대변인은 “일방적인 압박이나 중국을 배제하는 전제 아래에서 협상이 진행된다면, 협상 자체를 중단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실무회담은 시진핑 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정상통화 이후 첫 공식 대면 협상이다. 양국 대표단은 공급망 구조, 전
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과 유럽연합(EU)이 수교 50주년을 맞아 정상급 외교전에서 전략·경제·안보 이슈를 두루 조율하며 협력 공감대를 넓혔다. 2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중EU 정상회담에는 시진핑 국가주석, 리창 총리, EU 측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이사회 의장, 우르줄라 퐁데르라이엔 집행위원장이 참석했다. 리창 총리와 EU 두 정상은 제25차 중EU 정상회담을 공동 주재하고, 중유럽 관계의 전략적 방향과 경제적 협력, 국제 현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 대변인 궈자쿤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은 전반적으로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양측 모두 오랜 시간 동안 심도 있고 솔직한 대화를 통해 중요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쌍방은 중EU 관계를 중시하며, 전략적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상호 신뢰를 증진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며 “앞으로 50년의 중EU 관계를 더 밝고 안정된 방향으로 이끌자고 합의했다”고 밝혔다. EU 측이 강조해온 무역 불균형과 산업 보조금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 “우호적이고 존중하는 태도로, 인내심을 가지고 충분히 입장을 설명했다”며 “중EU 경제 관계는 상호 보완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 외교부가 유럽연합 지도부의 중국 산업 과잉생산 비판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근거 없는 보호주의적 주장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중국 산업의 경쟁력은 기술 혁신과 시장 기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1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주요 7개국 정상회의 기간 중 중국이 과도한 산업 보조금과 생산 과잉으로 글로벌 시장을 왜곡하고 있다는 발언을 한 데 대해, 이는 사실과 어긋나며 편견과 이중잣대에 가득 차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산업 정책은 개방과 공정, 합법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세계무역기구 규범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 산업 발전은 기술 혁신과 안정된 공급망, 치열한 시장 경쟁, 풍부한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라며 "보조금 의존이 아닌 실력으로 성장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른바 과잉 생산 논란은 일부 국가들이 자국 산업 경쟁력 저하와 시장 점유율 감소에 대한 불안을 반영한 것"이라며 "과잉된 것은 생산이 아니라 불안감"이라고 일축했다. 중국 외교부는 유럽 측의 산업 보조금 지원 실태도 지적했다. 발표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