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일본 지도부의 대만 관련 발언이 동북아 안정 전체를 흔들고 있다고 지적하며 외부 세력의 개입 움직임을 차단하겠다는 강경 메시지를 다시 제기했다. 중국 외교 수장의 발언은 중일 관계를 넘어 국제 질서 전반과 맞물려 평가되고 있으며, 일본 우익의 언행이 전후 체제의 성과를 흔드는 중대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3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王毅, Wang Yi) 부장은 최근 중앙아시아 순방 직후 인터뷰에서 일본 총리 다카이치 사나에의 대만 관련 언급을 정면 비판하며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섰다”고 지적하고 일본이 반복해온 잘못된 길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왕이 부장은 일본이 같은 실수를 고집할 경우 많은 국가가 전쟁과 식민지 지배의 역사적 사실을 다시 점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왕이 부장은 대만 문제에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암시한 일본 지도부의 발언을 두고는 “중국의 핵심 이익을 향한 공공연한 도발”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일본 우익 세력이 전후 국제 규범을 흔들고 과거 군국주의 사고를 다시 내세우는 흐름을 중국은 결코 좌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전날 타지키스탄 외무장
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시진핑(习近平, Xi Jinping) 중국 국가주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공식 축전을 보내며 한중 수교 33년의 성과를 강조하고, 전략적 협력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자고 제안했다. 4일 주한중국대사관 다이빙(戴兵, Dai Bing) 대사는 시 주석의 축전을 한국 측에 전달했다고 직접 SNS를 통해 밝혔다. 시 주석은 이 축전에서 “중한 양국은 서로 중요한 이웃이자 협력 동반자”라며 “수교 33년 동안 이념과 사회 체제의 차이를 초월해 손잡고 함께 나아가며 안정적이고 건전한 관계 발전을 이뤄왔다”고 밝혔다. 또한 “양국의 협력은 국민 복지를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평화와 안정, 발전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중한 관계 발전을 매우 중시한다”며, “현재 세계는 백년에 한 번 있을 미증유의 대변혁기에 들어섰고, 국제·지역 정세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시 주석은 “중국은 한국과 함께 수교 당시의 초심을 지키고, 선린우호의 방향을 굳게 하며, 호혜적 협력의 원칙을 견지해 양국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가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노력이 양국 국민
[더지엠뉴스] 1999년, 아시아에서 금융위기 대응하기 위해 아시아 경제 강국인 중국과 한국, 일본은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하고 공동 번영을 이루고자 손을 잡았다. 3국 지도자들은 ‘아세안+3’(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중일한) 시스템 안에서 협력을 공식화하며 세 나라 정부가 공동 참여하는 지역 협력 기구를 발족시켰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유일하게 상설 기구를 갖춘 완전한 협력 체제로, 지도자회의를 중심으로 장관급 회의와 고위급 회의, 70개 이상 실무자급 메커니즘을 가동한다. 우여곡절 속에서도 세 나라 협력은 계속 전진해 풍성한 성과를 거뒀다. 중일한 3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 무역 파트너가 되었고, 3국 경제총량은 세계 경제의 25%를, 3국 간 무역액은 전세계의 20%를 차지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세계적 영향과 외부 세력의 방해 등으로 4년간 멈춰섰지만 올해 중일한 협력 25주년을 맞아 3국 지도자회의가 한국 서울에서 열린다는 낭보가 전해지며 다시 재개될 것임을 알렸다. 이는 3국의 협력을 새로운 단계로 도약시켜 경제발전의 ‘아시아 위풍’을 불러일으키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번영과 글로벌 경제 활성화에도 새로운 동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