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한국과 중국이 진행 중인 자유무역협정(FTA) 서비스·투자 분야 후속 협상이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며 양국 간 경제 협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최근 서울에서 열린 제12차 후속 협상에서 국경 간 서비스 무역, 투자,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29일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번 협상은 지난 23일부터 닷새간 서울에서 개최됐으며, 권혜진 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교섭관과 류춘용(刘春永, Liu Chunyong) 중국 상무부 국제사 부사장(국장급)이 각각 수석대표를 맡았다. 회의에는 40여 명의 양국 대표단이 참석해 서비스 무역과 투자의 고도화된 자유화 실현을 위한 협상을 이어갔다고 전했다. 중국 상무부는 네거티브 리스트 방식의 시장 접근 문제에 대해서도 양측이 의견을 나눴으며, 협상이 “지속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와 관련해, 구체적인 진전이 있었다는 점이 강조됐다. 양국은 2015년 한중 FTA 발효 이후 2018년 3월부터 서비스·투자 분야의 후속 협상을 시작했다. 이는 양국 간 FTA를 보다 포괄적이고 높은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외국기업의 시장 참여를 제한하는 항목을 줄이며 외국인 투자 장벽을 완화했다. 24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시장 진입 네거티브 리스트(2025년판)'를 발표했다. 리스트 항목 수는 2022년 117개에서 올해 106개로 감소했다. 공인 도장 제작업은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변경됐고, 드라마 제작, 의약품 유통, 의료기기 정보 서비스 같은 분야에서 진입 제한이 완화됐다. 전국적 조치로는 8개 업종에서 제한이 철폐됐고, 지역별 조치로는 교통 물류, 차량 임차, 화물 운송 정보 등 17개 항목의 진입 제한이 사라졌다. 반면 무인항공기 운영과 전자담배 등 일부 신산업 분야는 새롭게 리스트에 포함됐다. 이번 개정은 2018년 도입 이후 네 번째로, 초기 151개였던 항목은 총 30% 가까이 축소됐다. 중국공산당은 지난해 열린 20기 3중전회에서 시장 진입 장벽 철폐를 공언했고, 이번 네거티브 리스트 개정은 해당 결정을 구체화한 조치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