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이남희 기자 | 상하이가 국자모펀드를 앞세워 미래산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불과 넉 달 사이에 두 차례 대규모 결정을 내리며 12개 자펀드에 자금을 집행했다. 18일 화샤스바오에 따르면, 지난 14일 열린 투자결정위원회에서 상하이 미래산업펀드는 푸칭번차오(浦清本草, Puqing Benchao), 비린싱 4기(比邻星, Bilinxing), 첸지캉루이(千骥康睿, Qianji Kangrui), 카이펑카이싱(凯风开兴, Kaifeng Kaixing), 딩펑웨이라이넝위안(鼎峰未来能源, Dingfeng Weilai Nengyuan), 무셴치항하이허(无限启航海河, Wuxian Qihang Haihe) 등 6개 창업투자 기업에 출자를 승인했다. 이로써 4월에 확정된 6개와 합쳐 12개 자펀드가 완성됐다. 상하이 미래산업펀드는 2024년 설립됐으며 총 규모는 100억 위안(약 1조9천억 원)이다. 전액 시 재정이 출자했고, 상하이궈터우가 주도해 운영한다. ‘투자 시기를 앞당기고, 소규모로 나눠 하드테크에 집중한다’는 원칙 아래 직접투자와 자펀드 투자를 병행하는 구조를 갖췄다. 만기는 15년이며, 필요할 경우 3년 연장도 가능하다. 이번 두 번째 투자 라운드에서
[더지엠뉴스] 한국의 연금 시스템이 국제 평가에서 최하위 수준을 기록하며, 노후 대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연금 백만장자가 넘쳐나고 있어 그 차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된다. 머서(Mercer)와 CFA협회가 공동으로 평가하는 ‘MCGPI’(Mercer CFA Institute Global Pension Index)에 따르면, 한국의 연금 시스템은 ‘충분성’, ‘지속가능성’, ‘투명성’ 부문에서 모두 낮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충분성 점수는 100점 만점에 40.5점으로, 평가 대상 48개국 중 44위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가장 큰 문제로 연금 저축 부족을 지적했다. 리치 누줌 머서 글로벌 최고투자전략가(CIS)는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금 저축 비율이 매우 낮아 연금 평가에서 꼴찌 수준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들의 퇴직연금 적립 비율은 평균적으로 GDP의 70%에 달하지만, 한국은 2023년 말 기준 25.41%에 불과했다. 퇴직연금 가입률을 높이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이병선 모건스탠리 퇴직연금사업부 이사는 "젊을 때부터 충분한 퇴직연금을 저축하고, 나이 들어서는 적절한 운용사
[더지엠뉴스] 부자가 되는 방법은 나이에 따라 다를까? 한화투자증권이 발표한 '투자전략-부자의 기술' 리포트에 따르면, 부자가 되기 위한 전략은 연령대별로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부자의 기준은 각자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부자가 된 후 더 욕심을 부리지 않는 자제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부자 가구의 비율이 전체 가구의 약 1% 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산을 축적하는 과정에서 연령대별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30대는 '성장'의 시기다. 박 연구원은 "이 시기에는 소득과 자산이 동시에 증가하며, 가장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는 투자처는 자기 자신"이라며 "전문성을 키우는 것이 장기적으로 가장 큰 자산이 된다"고 말했다. 40대는 '효율적인 자산 관리'가 핵심이다. 그는 "이 시기의 사람들은 소득이 많고 자산도 있지만, 부채도 많다"며 "세금 절감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투자 경험이 쌓여야 효과적인 자산 증식이 가능하다"며 조언그룹을 구성할 것을 추천했다. 50대는 '시간을 내 편으로 만드는' 단계다. 박 연구원은 "이때는 금융자산과 비주거용 부동산이 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