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석 기자 | 미국의 예산 축소가 계속되는 사이 중국은 장기 유인 임무를 뒷받침하는 생체 재생 지원 시스템(BLSS)과 우주 거주 기술을 발전시키며 주도권을 넓히고 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퍼듀대·노스이스턴대·유타주립대·유타대, 그리고 미국 항공우주국 케네디우주센터와 에임스연구센터 소속 연구자들은 학술지 ‘npj 미세중력’ 논문에서 이러한 평가를 내렸다. 연구자들은 미국이 2000년대 초반 이후 달과 화성 유인 탐사 관련 BLSS 연구를 축소하면서 ‘중대한 공백’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국제우주정거장 운영은 여전히 물과 식량을 지구에서 보급받는 방식에 의존하고 있지만, 장기 임무에서는 방사선, 미세중력, 자원 재생 같은 요소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미국의 과거 연구 성과를 받아들여 발전시켜 왔다. 베이징항공항천대의 ‘웨궁 1호’는 식물 재배실과 폐기물 처리실, 생활 공간을 모두 갖춘 인공 생태계 실험 시설로, 중국 국가항천국(CNSA)이 추진하는 달·화성 기지 계획의 기반이 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현재 달과 화성 거주를 위한 완전 통합형 생체 재생 시스템을 공식적으로 개발하는 국가는 중국뿐이며, 규모와 수준에서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이 지구 근접 천체를 탐사하는 최초의 우주 임무를 본격 가동한다. 톈원(天问) 2호는 29일, 태양계를 향한 9년 반의 항해를 시작할 예정이다. 27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과 중앙TV에 따르면, 국가항천국(CNSA)은 쓰촨성(四川, Sichuan) 시창(西昌, Xichang) 위성발사장에서 톈원2호의 발사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 탐사선은 창정(长征, Changzheng) 3호乙(야오-110) 로켓에 탑재되어 이륙하게 된다. 톈원2호의 1차 임무는 지구의 준(準)위성으로 불리는 ‘카모오알레바’(Kamo'oalewa)에서 표본을 채취한 뒤, 이를 2027년 지구로 회수하는 것이다. 채취한 표본은 이 천체가 달에서 떨어져 나온 암석이라는 기존 가설을 검증하는 데 결정적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어지는 2차 임무에서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혜성 ‘311P/판스타스’를 대상으로 탐사가 진행된다. 전체 탐사 일정은 약 9년 반으로, 중국 우주탐사 역사상 최장기간 프로젝트다. 카모오알레바는 2016년 하와이의 천문대에서 처음 발견된 소행성으로, 지름 약 50미터의 이 천체는 지구 궤도와 유사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