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역대 최대 규모의 비밀번호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유출된 계정 정보는 전 세계 인구의 두 배에 가까운 160억건에 달하며, 이미 다크웹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미국 포브스와 CBS는 사이버 보안 전문 매체 사이버뉴스의 조사 내용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사이버뉴스는 올해 1월부터 6개월간 진행한 조사에서 각각 수천만 개에서 35억 건 이상의 기록이 담긴 대형 유출 데이터셋 30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유출된 데이터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텔레그램 등 주요 플랫폼뿐 아니라 다양한 정부 서비스 계정까지 포함돼 있다. 전문가들은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 경로가 노출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유출은 인포스틸러(정보 탈취용 악성코드)로 수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VPN 서비스와 개발자 포털, 주요 공급업체 계정에서도 과거에 유출되지 않았던 새로운 정보들이 포함돼 있다고 사이버뉴스 측은 전했다. 이번 사고의 심각성은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대규모 악용 가능성에 있다. 사이버뉴스 연구진은 “새롭게 탈취된 정보가 피싱 공격과 계정 탈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공격
[더지엠뉴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미국의 주요 IT 기업을 겨냥한 반독점 조사를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5일(현지시간)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이 애플의 앱스토어 수수료와 외부 결제 제한 정책이 반독점법을 위반했는지 조사할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 당국은 이미 구글과 엔비디아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개시한 상태다. 여기에 애플까지 포함될 경우, 미중 간 무역 갈등이 더욱 첨예해질 수 있다.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앱과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최대 30%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으며, 외부 결제를 제한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애플이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해 경쟁을 방해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이미 지난해부터 애플 임원들과 앱 개발자들을 상대로 관련 논의를 진행해왔다. 애플은 미국에 이어 중국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며, 아이폰 생산의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 애플의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중국 스마트폰 시장 1위를 기록했던 애플은 지난해 비보(Vivo)와
[더지엠뉴스] 중국이 미국의 10% 추가 보편 관세 부과에 대해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석탄·액화천연가스(LNG)·원유 등 미국산 수입품에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희소금속 수출을 제한하는 동시에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도 개시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4일,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일부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대상 품목은 석탄, LNG, 원유뿐만 아니라 농기계, 대형 차량, 픽업트럭 등이 포함됐다. 관세율은 석탄과 LNG에 15%, 원유·농기계·차량 등에는 10%가 적용된다. 중국 정부는 이러한 조치가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정책에 대한 정당한 대응"이라며, 미국의 조치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의 추가 관세 조치를 WTO에 제소했다. 또한,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구글에 대한 반독점 조사에 착수했다. 중국 언론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구글이 중국 시장에서 반경쟁적 행위를 했는지에 대한 법적 검토"라는 입장이다. 이 조치는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대한 대응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텔루륨·비스무트·몰리브덴·인듐 등 희소금속 25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