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양치질을 끝내자마자 입 안을 다시 헹구는 사람이라면, 지금부터는 멈추는 것이 좋겠다. 23일 보도에 따르면, 영국 ‘서레이 라이브(Surrey Live)’는 양치 후 바로 사용하는 구강청결제가 오히려 치아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고 경고했다. 보도에 등장한 디파 초프라 박사(화이트 덴탈 클리닉)는 양치 직후 구강청결제로 입을 헹구면, 치약 속 불소가 씻겨나가 법랑질을 보호하는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치과의사연맹(FDI)도 불소가 충치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양치 후 곧바로 구강청결제를 사용할 경우, 이 효과가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강청결제를 꼭 써야 한다면, 식사 후 혹은 간식을 먹은 뒤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식사 직후 양치도 조심해야 한다. 경희대병원 박재홍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탄산음료를 마신 직후 치아를 닦을 경우 법랑질 손상이 커진다. 30분 후에 양치했을 때 훨씬 덜 손상되는 결과가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입 안이 산성 환경에서 벗어나 자정작용을 통해 중화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따라서 음식 섭취 후에는
[더지엠뉴스] 미국의 대장항문외과 전문의가 구강청결제가 대장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16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의 카렌 자기얀(Karen Zaghiyan) 박사는 구강청결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공개하며, 그 이유로 인체 내 세균 생태계 파괴를 꼽았다. 그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올린 영상에서 "욕실에서 구강청결제를 본 적도 없다"며 "이 제품이 입속 세균뿐 아니라 장내 유익균까지 해친다"고 주장했다. 구강청결제의 항균 작용이 지나쳐 장내 균형까지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는 것이다. 보도에 인용된 연구에 따르면, 일부 구강청결제 성분이 입속 세균을 급격히 줄이는데, 이로 인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도 떨어질 수 있다. 장내 박테리아는 면역과 발암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생태계가 무너지면 대장암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된다. 자기얀 박사는 또한 배변 후 물티슈 사용에 대해서도 경고했다. 그는 "물티슈가 항문 주변 피부에 자극을 주고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며 "가능하면 물로 직접 씻거나 비데 사용이 좋다"고 조언했다. 한편, 최근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는 청년층 대장암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