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다이빙(戴兵, Dai Bing) 주한 중국대사가 지난달 27일 서울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만나 한중관계와 한반도 문제 전반을 논의했다. 양측은 양국 정상의 공통 인식 이행과 전략적 협력관계 고도화 필요성에 공감했다. 1일 중국대사관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정 장관의 취임을 공식 축하하며, “새 한국 정부 출범 이후 양국 관계가 순조롭게 출발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상 간의 중요한 공동 인식을 함께 성실히 이행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장관은 “한국 정부는 한중 관계의 안정적 발전을 중시하며, 한반도 문제 해결에 있어 중국과 긴밀히 협의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동북아 평화와 안정, 공동 번영을 위한 실질적 협력을 중국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담에서는 한중 고위급 교류 재개, 북핵 및 안보 현안, 다자안보 체제 속 양국의 역할, 공급망 협력 등 다양한 의제가 오갔다. 양측은 향후 외교·통일·안보 채널을 통한 정례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다자주의를 재확인하며 국제 질서 속 역할 확대를 강조했다. 회원국 외교장관들은 톈진에 모여 안보·경제 협력의 공통 해법을 모색했다. 16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상하이협력기구(SCO) 외교장관회의가 톈진(天津, Tianjin)에서 개최됐으며,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의장국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했다. 회의에는 벨라루스, 인도,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파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회원국 외무장관 전원이 참석했다. 상하이협력기구 사무총장 엘메크바예프와 지역반테러집행위원회 주임 샤르셰예프도 함께했다. 왕 부장은 개회 연설에서 “SCO는 지난 24년간 정치·안보·경제 협력을 통해 회원국 간 전략적 신뢰를 공고히 해왔다”며, “다자주의의 원칙과 공동의 안보·번영을 위한 협력 체계로서 조직의 위상이 더욱 뚜렷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변화하는 국제 환경 속에서 SCO의 전략을 다시 정비할 필요성을 언급하며, 협력 방향으로 다음의 원칙들을 제시했다. 상하이 정신을 토대로 신뢰와 평등, 상호이익, 문명 존중을 강화하고, 안보 위협에 공동 대응하며, 경제적 연계를 확장해 지속 가능한 발전 기반을 구축해야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과 스리랑카가 고위급 경제협력 회의를 통해 공급망·산업 협력 강화에 뜻을 모으고, 일대일로(一带一路, Belt and Road) 협력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투자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콜롬보에서 열린 제8차 중-스리랑카 경제무역공동위원회에서 양국은 산업체인 연계, 무역 촉진, 다자무역체제 수호를 핵심 의제로 내세우며 두 건의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30일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콜롬보에서 전날 개최됐으며, 왕원타오(王文涛, Wang Wentao) 중국 상무부장과 와산타 사마라싱헤(Wasantha Samarasinghe) 스리랑카 무역부 장관이 공동 주재했다. 양측은 고품질 일대일로 협력 심화, 무역 및 투자 확대, 공급망 공동 구축에 대한 입장을 공유하고, 세계무역기구(WTO) 중심의 다자무역체제 수호 의지를 명확히 했다. 회의 이후 양국은 ▲무역 원활화 실무협의체 구성 ▲산업 및 공급망 협력 관련 양해각서를 체결하며 경제협력 틀을 구체화했다. 왕 부장은 “양국 정상 간 전략적 공감대 아래 교역과 투자는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공급망 통합과 인적 교류도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스리랑카의 고품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