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박소영 기자 | 미국 부부 사이에 ‘같이 자지 않는 문화’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코골이부터 수면장애, 갱년기 증상까지, 함께 자는 게 더 이상 사랑의 증거가 아니게 됐다. 14일 미국수면의학아카데미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35%가 배우자와 자주 또는 항상 각방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은 여전하지만, 잠만큼은 따로 자는 게 오히려 부부관계를 지키는 길이 됐다는 설명이다. 결혼한 지 20년 된 한 부부는 “남편이 자면서 다리를 마구 흔들고, 코를 심하게 골아 아내가 밤마다 몇 번씩 깨야 했다”고 털어놨다. 결국 두 사람은 2017년부터 침실을 따로 썼고, 이후 부부 관계는 오히려 더 단단해졌다고 한다. 또 다른 부부는 갱년기 증상으로 밤마다 이불을 걷어차는 통에 서로 잠에서 깼다고 전했다. 이들은 “지금은 어떤 날은 함께, 어떤 날은 따로 잔다”며 “잠을 잘 자야 서로에게 더 친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면 전문가들도 이에 동의한다. 한 전문가는 “함께 자는 것이 애정의 척도라는 생각은 비교적 최근의 문화일 뿐”이라며 “수면의 질과 서로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각방은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호주 모나시대학 수면과학자
[더지엠뉴스] 일본에서 한 여성이 쌍둥이를 임신하자 남편이 이혼을 요구하며 가정을 떠난 사연이 알려졌다. 최근 일본의 한 여성 A 씨는 SNS를 통해 전남편과 시어머니에게 남기는 글을 올리며 자신이 겪은 일을 공개했다. 그녀는 "쌍둥이를 낳을 거라면 이혼이라던 전 남편과, '나라도 쌍둥이라면 낙태했을 것'이라던 시어머니에게"라는 글을 남기며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A 씨에 따르면, 둘째 아이를 계획하고 있던 그녀는 예상치 못한 쌍둥이 임신 소식을 남편에게 전했다. 하지만 남편은 "아, 무리다"라며 즉각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퇴근 후에도 "쌍둥이는 감당할 수 없다. 그냥 낙태하고 다시 만들면 되지 않느냐"라고 말하며 출산을 거부했다. 그녀는 결국 남편과 이혼했지만, 육아와 생활을 위해 일정 기간 함께 지낼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특히 임신 중 입덧을 하면서도 남편의 밥을 차려주고, 설거지와 빨래까지 도맡아야 했던 당시를 떠올리며 "그때의 나를 누군가 칭찬해줬으면 좋겠다"라고 털어놓았다. 이혼 조정 과정에서 전남편은 아이들을 만나지 않겠다고 단언했다. 이에 A 씨는 "아이들이 이렇게 귀여운데 못 보게 되어서 유감이다"라며 씁쓸한 심정을 전했다. 현재 A 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