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대명 기자 | 중국과 이집트가 수교 70주년을 앞두고 양국 관계를 ‘새 시대 운명공동체’로 격상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시진핑 주석은 다자주의 수호와 글로벌 남방 연대를 강조했고, 마드불리 총리는 에너지·투자 협력 확대를 약속했다. 3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 톈진 잉빈관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방중한 무스타파 마드불리 이집트 총리를 접견했다. 시 주석은 “이집트는 신중국과 수교한 첫 아랍·아프리카 국가로, 현재 양국 관계는 역사상 가장 좋은 시기”라며 “내년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새 시대 중·이 운명공동체’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양국이 정치적 상호 신뢰를 강화하고, 핵심 이익과 중대 사안에서 확고히 지지하는 ‘형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일대일로와 이집트의 ‘2030 비전’을 연결해 수에즈 경제·무역 협력구 등을 중심으로 경제, 공동 제조, 신에너지 분야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다자무대에서도 글로벌 남방 국가로서 함께 책임을 지고, 유엔을 중심으로 한 국제질서와 국제법을 수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드불리 총리는 시진핑 주석에게 압델 파타흐 시시 대통
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극적인 국제 정세 속에서 시진핑 국가주석이 유엔의 권위 회복과 다자주의 수호를 강하게 천명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중국이 다자주의의 초석임을 강조하며 협력 확대 의지를 밝혔다. 31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국가주석은 전날 톈진 잉빈관에서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 참석차 방중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접견했다. 시 주석은 “2차 세계대전 전후 국제사회의 가장 중요한 결정은 유엔 창립이었다”며 “80년이 지난 지금, 다자주의와 단결·협력이야말로 세계적 난제를 해결하는 올바른 해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언제나 역사적 정의의 편에 서왔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고수해왔다”며 “유엔이 각국 협력의 중심 플랫폼으로서 권위와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인류 운명공동체’ 구축, 세 가지 글로벌 이니셔티브, 일대일로를 통해 세계와 더 큰 기회를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국제법과 다자주의가 도전에 직면한 지금, 유엔의 창립 정신을 되새기는 것이 필요하다”며 “중국은 다자주의의 초석이자 국제법 질서 수호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