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평화 기자 | 한국 정부가 오는 9월부터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해 한시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한 가운데, 주한 중국대사 다이빙(戴兵, Dai Bing)이 공식 SNS를 통해 이를 환영했고, 조현 외교부 장관이 직접 메시지를 공유하며 지지 의사를 나타냈다. 7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다이빙 대사는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 ‘X’(구 트위터)를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로 “한국 정부의 단체관광객 무비자 조치는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들에게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이미 지난해 11월부터 한국 국민에게 일방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 중”이라며 “양국은 가까운 이웃으로서 국민 간 빈번한 교류가 상호 이해와 우호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게시글은 조현 외교부 장관에 의해 즉각 리트윗되었으며, 조 장관은 “올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관광객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다는 오늘의 결정은 매우 기쁘다”며 “한중 국민 간 더 활발한 교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양국 외교 수장이 공개적으로 교감을 나눈 보기 드문 사례로, 한중관계 개선 움직임과 맞물려 문화·관광 분야 교류 복원의 속도를 높일
[더지엠뉴스]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한시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했다. 겉으로 보기엔 일시적 관광 진흥 정책으로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 결정이 가지는 의미는 훨씬 크고, 깊다. 그동안 얼어붙었던 한중 관계의 빙벽을 처음으로 살짝 녹이는 ‘물방울’ 같은 시작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으로도 얽히고설킨 인연이 깊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우리는 마치 서로 등을 돌린 듯했다. 사드(THAAD) 사태 이후 이어진 정치적 갈등, 코로나19로 인한 하늘길 차단, 그 사이 틈을 비집고 자라난 편견과 혐오. 단절은 길었고, 그 고립은 점점 굳어졌다. 그러나 언제까지 그렇게 등을 지고 살 순 없다. 관광은 단순한 ‘소비’가 아니다. 사람이 사람을 만나고, 얼굴을 보고, 웃고, 때론 불편함도 겪으며 이해하게 되는 과정이다. 그 안에 문화 교류가 있고, 경제 협력이 있고, 신뢰 형성이 있다. 이 작은 교류의 씨앗 하나하나가 모여 결국 큰 외교가 되는 것이다. 이번 조치로 인해 단체 관광객이 몰려들면, 국내 관광 산업은 확실히 활기를 되찾을 것이다. 명동 거리의 공실률은 줄고, 제주도의 숙박업은 다시 숨을 쉬게 될 것이다. 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