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김완식 기자 | 한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뛰어넘는 가운데, 올 상반기 가장 큰 폭으로 탑승객이 증가한 노선은 중국이었다. 6일 항공업계와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1∼6월 사이 국내 국제공항을 이용한 국제선 탑승객은 총 4천602만9천여명으로, 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중 노선은 전년 동기 대비 152만명 증가한 781만명을 기록하며 단일 국가 노선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을 보였다. 중국 노선 이용 급증은 지난해 11월 중국이 한국인에 대해 비자 면제를 실시한 이후 여행 문턱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관광객 유입 회복세 속에서 한국 정부도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적 비자 면제를 추진 중이어서 향후 더 큰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일본 노선 역시 1천343만여명으로 120만명 가까이 증가했으며, 엔저 효과와 일본 소도시 노선 확대가 인기를 견인했다. 반면, 장거리 노선인 미주(332만여명), 유럽(225만여명), 중동(53만여명) 노선도 전년 대비 3~8% 수준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였다. 공항별로는 인천공항이 전체 국제선 수요의 78%인 3천611만명을 처리했고, 김해공항(492
[더지엠뉴스] 배우 전종서가 국가 애도기간 중 올린 근황 사진이 논란을 일으키며 결국 삭제했다. 30일 전종서는 “오늘도 촬영…”이라는 글과 함께 촬영 대기 중 차 안에서 찍은 셀카를 포함한 여러 장의 사진을 SNS에 게시했다. 그러나 이는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화재로 179명이 목숨을 잃은 와중에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내년 1월 4일까지 이어지는 국가 애도기간 동안 개인적인 셀카를 올리는 것은 경솔하다는 지적이 있었던 반면, 일부 네티즌은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지나치다”거나 “SNS 게시물은 개인의 자유”라며 옹호했다. 이 같은 논란이 계속되자 전종서는 사진을 삭제하며 논란을 일단락했다. 한편,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는 지난 29일 오전 9시 무안국제공항에 착륙 중 화재가 발생해 179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정부는 이를 국가적 참사로 보고 1월 4일까지 애도기간을 선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