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지엠뉴스 송종환 기자 | 중국은 미중 통상 협상을 앞두고 “중국의 이익을 해치는 합의는 수용 불가”라고 못 박았다. 스웨덴 실무회담을 앞두고, ‘평등·존중·상호이익’이 협상의 절대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28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궈자쿤(郭嘉昆, Guo Jiakun)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협상 구체 일정은 추후 공개되겠지만, 우리의 원칙은 분명하다"고 전했다. 그는 “중미 양국 정상 간의 최근 통화에서 중요한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그 합의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고, 정상 간 신뢰를 무역 협상으로 연결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항상 WTO 규범을 존중하며, 어떤 경우에도 중국의 정당한 이익을 희생하는 형태의 거래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경계했다. 유럽연합이 최근 미국과 체결한 이른바 ‘차선의 무역합의’가 언급되자, 중국도 비슷한 시나리오를 수용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궈 대변인은 “일방적인 압박이나 중국을 배제하는 전제 아래에서 협상이 진행된다면, 협상 자체를 중단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실무회담은 시진핑 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정상통화 이후 첫 공식 대면 협상이다. 양국 대표단은 공급망 구조, 전
[더지엠뉴스]중국 정부가 미국의 펜타닐 문제를 빌미로 부과된 관세에 대한 자국의 대응 조치를 유지하겠다고 밝혀, 스위스 제네바 합의 이후에도 핵심 갈등은 여전히 진행형임을 드러냈다. 14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린젠(林剑, Lin Jian)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미국의 부당한 관세 인상에 두 차례 모두 정당한 반격을 취했다”며 “그에 따른 관세·비관세 조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2일, 미중 양국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관세 인하에 합의했으며, 이에 따라 상호 수입품에 부과됐던 추가 관세율 중 91%는 철회하고 24%는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대미 추가 관세율을 10%로 낮췄고, 미국은 상호 관세 10%에 더해 펜타닐 관련 20%를 더해 총 30% 관세를 유지하는 구조가 됐다. 중국은 지난 2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자 이에 맞서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를, 원유, 농기계, 대형 차량 등에 10%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다. 동시에 텅스텐,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의 전략 자원 수출도 제한하며 반격에 나선 바 있다. 이어 트럼프 전 대통령은 3월에도